청년들의 한숨
우리 [덕화만발]에서 <덕화아카데미>를 창립하고 보니 유난히 청년실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참으로 우리나라 청년들의 고통을 해소할 방법은 무엇일까요? 무엇보다도 청년실업이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닙니다.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청년실업률이 해마다 상승해 왔다고 합니다. 2012년 7.5%였던 청년실업률은 2013년 8%, 2014년 9%, 2015년 9.2%로 올라갔습니다. 그런데 2016년 4월 기준으로 10.9%에 이르러 청년 실질 실업자 100만 명 시대에 돌입했다는 기막힌 소식입니다.
그렇다면 청년실업 해결 방안은 무엇일까요? 전문가가 아니라 잘 알 수는 없으나 다음 몇 가지 방법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① 청년실업 의무고용제를 실시해 100인 이상 기업에 5%적용, ② 사회연대 형, 고용창출 형 노동시간단축으로 고용시장 재편, ③ 비정규직의 온전한 정규직화 전환계획의 세 가지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 예로 스위스의 경우를 한 번 알아봅니다.
스위스의 경우 중소제조업 분야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청년들을 유인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하기 쉽지 않은 노동 시장의 현주소에서 청년들에게 ‘눈높이를 맞추라’고 하며 그들 탓만 할 수는 없습니다. 바로 좋은 중소기업을 많이 육성해야 하는 이유이지요.
그러한 청년실업 해소방안의 하나로 <덕화아카데미>가 창립 된 것입니다. 아직은 이론과 실제를 모색하는 중이지만 위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면 분명 좋은 결과를 맞이할 수 있지 않을 런지요? 그런데 문제는 직장을 가졌더라도 만족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년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얼마 전 한 청년이 인생 상담을 하러 찾아 왔습니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이 청년은 대학 졸업 후 어렵게 들어간 첫 직장이 조그만 여행사였습니다. 명문 대학을 나온 것도 아니고 변변한 자격증 하나 없었기 때문에 취직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졸업반 때 열심히 입사원서를 냈지만 번번이 서류심사에서 떨어졌습니다. 청년은 이때부터 세상에 대한 불만을 늘 가슴에 품고 살았습니다.
월급도 별로 많지 않았고 언제나 귀찮은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습니다. 매일 매일 수없이 쏟아지는 짜증나는 문의전화, 끝도 없는 서류처리, 출발 하루 전 여행을 취소하는 사람들, 남의 여권 수백 장을 들고 대사관 앞에 줄을 서야 할 때 느껴지는 자괴감, 서로에 대한 배려가 없는 동료들 등등, 청년은 이런 것들을 떠올릴 때마다 한숨이 절로 나왔습니다.
사실 청년은 한 번도 여행사 일을 자기 일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습니다. 친절하게 전화를 받지도 않았고, 한 번 더 전화하고 한 번 더 뛰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도 않았습니다. 낮에는 대충 일하고 오히려 밤늦게 소주잔을 기울이며 회사나 상사를 욕하는 데 더 열심이었습니다.
오전 9시인 출근 시간에 맞춰 출근하는 게 한 달에 몇 번 밖에 안 됐고, 출장비 내역은 늘 부풀려서 올렸습니다. 그래서 회사를 죽지 못해 다닌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물었습니다. “그럼, 죽기 아니면 다니기네?” “그렇게 되나요?” “죽는 것과 바꿀 정도로 선택했으면 열심히 다녀야지. 있는 그 자리에서 열심히 해야 더 큰 물로 가는 거야. 열심히 안사는 것도 버릇되는 거라네.” “버릇이라니요?”
“지금 있는 곳에서 열심히 일하지 않는 사람들은 늘 그렇게 말하지. 지금은 열심히 살지 않지만 좋은 직장을 구하거나 자기 사업을 시작하면 열심히 할 거라고. 그런데 그게 잘 안 돼. 한 곳에서도 열심히 살지 않은 사람은 다른 곳에서도 열심히 살지 못해. 버릇이 들었기 때문이야.” “하여튼 전 직장을 옮기고 싶어요.”
“내일 옮기더라도 오늘까진 그런 생각 하면 안 되네.” “생각도 하면 안 되나요?” “일부러 할 필요는 없지.” “왜요?” “다른 사람들이 자네 생각을 모를 것 같지?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뭔가 달라지면 금방 눈치를 채거든. 아마 자네 직장 상사들은 자네를 보면서 그럴 거야. ‘저놈 곧 그만둘 놈’ 이라고. 그런데 자네한데 중요한 일을 시키겠나?”
“자네가 지금 직장에서 일하면서 만난 사람들 말이야. 동료든 상사든 거래처 직원이든 고객이든 언젠가는 다 자네의 증인이 되는 사람들이야. 세상은 좁은 거야” “우연히 라도 자네에 대한 얘기가 나오면 그 사람들은 자네에 대해 점수를 매길 거야. 두렵지 않나?” “좀 걱정은 되네요.” “그러니까 내일부터는 마음 고쳐먹어.”
“그게 잘 안돼요.” “일단 아침에 소풍가는 것처럼 기분 좋게 일어나서 나가고, 어차피 할 일 웃으면서 일해. 머릿속에 자꾸만 쥐꼬리만 한 월급이 떠오르면 지워 버리고, 월급쟁이 월급 다 거기서 거기야. 조금 더 받는다고 팔자 고치는 것도 아니야. 기껏 차이가 나봐야 소형차와 중형차의 차이겠지.” “무슨 말인지 알겠어요.” “그리고 그 인상 좀 펴고 다니게. 젊은 사람이!” “그냥 나처럼 웃어! 웃는 사람에게 복이 오는 것이니까, 하하하하하하하하!”
이 청년과 인생 상담을 하면서도 마음이 착잡했습니다. 청년 실업은 현 한국사회의 큰 문제의 하나로 계속해서 대두되고 있는 것입니다. 조금 더 좋은 직장, 조금만 더 스펙을 쌓으면 좋은 직장에서 제대로 된 보장을 받을 것이라는 생각. 불안정한 계약직이 아닌 정규직을 원하는 마음에서 청년들은 학교를 졸업한 후 스펙 쌓기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왜 그럴까요? 고급인력을 원하는 사회 때문이 아닐까요? 고용주입장에서는 실력 있는 인력을 원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것은 기업이고 사회고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러나 기회조차 주지 않는 현 사회는 점점 실업률 증가의 원인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청년들을 불안정한 직장으로 내몰아 불안 속에 살게 한 것은 이런 사회를 만든 기업과 나라의 정책 때문이 아닐까요?
어쨌든 우리 청년들의 한숨을 멈추게 해야 합니다. 그 방법은 무슨 일을 하거나 방심하면 이루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방심하지 않는데 성공이 있습니다. 아무리 하찮은 일자리라도 끝까지 중단하지 말고 결과를 내는 이 나라의 젊은이들이 되면 아주 좋겠네요!
단기 4350년, 불기 2561년, 서기 2017년, 원기 102년 2월 7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