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정은미 기자]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25일 “공정경제 정책만으로 한국 경제가 필요로 하는 성과를 다 낼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상조 신임 정책실장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임명 후 처음으로 기자들과 만나 “공정경제를 먼저 한 뒤 혁신성장을 해야 한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혁신성장이 동시에 중요해 같이 가야 하며, 소득주도성장도 마찬가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때 그때의 경제환경에 따라 정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며, 자신의 향후 정책 운용에 있어 ‘유연성’을 갖추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혁신성장이 뒤로 밀리고 공정경제가 너무 거칠게 나가는 것 아니냐는 일부 우려는 제가 지난 2년간 어떤 일을 어떤 방식으로 해왔는가를 다시 한 번 돌이켜보시면 풀릴 오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정책실장으로 임명된 후 가장 먼저 지시한 것이 정책고객·이해관계자와 만나는 자리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저는 경제학자다. 모든 일에 ‘베네핏(이익)’과 ‘코스트(비용)’가 있다는 걸 잘 알고 있으며, 이를 비교하는 것을 본업으로 하는 것이 경제학자”라며 “언론과 적극적으로 접촉해 정책을 잘 설명하는 것이 코스트보다는 베네핏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언론 외에도 국회, 재계, 노동계, 시민사회 등 크게 네 부류와 상견례 또는 인사자리를 마련할 것”이라며 활발한 소통행보를 예고했다.
또 김 실장은 인텔 창업자인 앤디 그로브의 자서전을 인용하며 “성공이 자만을 낳고 자만은 실패를 낳는다. 끊임없는 자기 혁신하는 편집증적 노력만이 생존을 보장한다”고 말했다.
이어 “위대한 경제학자 케인스도 ‘사실이 바뀌면 내 마음을 바꾼다’는 말을 했다”며 “케인스도 그랬는데, 제가 뭐라고 그러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 정책을 펼쳐나감에 있어 ‘유연성’을 표방하겠다는 의지로 읽히는 대목이다.
특히 김 실장은 “아담 스미스,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같은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의 책도 제 생각의 형성에 똑같은 영향을 미쳤다”며 “하이에크는 특히 시카고 학파(신자유주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 미친 사람인데, 그 책으로부터도 깊은 감명을 받았던 바 있다. 어느 한 방향으로 제 자신을 규정하지 않는다”고 소신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