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개천절,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는 고유명절..
문화

개천절,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는 고유명절

김영권 기자 입력 2017/10/03 07:58 수정 2017.10.03 08:00
(사진=뉴스프리존 DB)

[뉴스프리존=김영권 기자]10월3일 개천절은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날이다. 기원전 2333년(戊辰年), 즉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개천(開天)’의 본래의 뜻이, 단군조선의 건국일이 아닌 124년을 소급해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환웅(桓雄)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어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상원 갑자년(上元甲子年: 서기전 2457년)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는 쪽에 더욱 무게감이 실린다.

이에 따라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명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천절을 기리는 행사는 고대국가부터 제천행사를 통해 거행되었다.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의 영고(迎鼓), 동예의 무천(舞天) 등이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명절을 기리는 행사다.

마니산(摩尼山)의 제천단(祭天壇), 구월산의 삼성사(三聖祠), 평양의 숭령전(崇靈殿) 등에서 각각 행해진 제천행사도 좋은 예로 볼수 있다.

특히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10월을 상달(上月)이라 부르며 한 해 농사를 추수하고 햇곡식으로 제상을 차려 감사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제천행사를 행하게 되는 10월을 가장 귀하게 여겼다. 또 숫자 3을 길수(吉數)로 여겨 왔다는 사실은 개천절의 본래의 뜻을 보다 분명히 한다.

이러한 명절을 ‘개천절’이라 명명한 것은 대종교(大倧敎)에서 비롯한다. 1909년 1월 15일 서울에서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문을 열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행사를 거행했다.

이후 대종교의 개천절 행사는 일제강점기시절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특히 상해임시정부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하여 경하식을 행하였다,

충칭(重慶) 등지에서도 대종교와 합동으로 경축행사를 거행하였다.

광복 후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계승하여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식 제정하고, 그때까지 경축식전에서 부르던 대종교의 ‘개천절 노래’를 현행의 노래로 바꾸었다.

개천절은 원래 음력 10월 3일이므로 대한민국 수립 후까지도 음력으로 지켜왔는데, 1949년에 문교부가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換用)심의회’의 심의결과 음·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1949년 10월 1일에 공포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 음력 10월 3일을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 거행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종교에서 행하던 경하식은 국가적 행사에 맞추어 양력 10월 3일에 거행하고, 제천의식의 경우만은 전통적인 선례에 따라 음력 10월 3일 상오 6시에 행하고 있다.

이 날은 정부를 비롯하여 일반 관공서 및 공공단체에서 거행되는 경하식과 달리, 실제로 여러 단군숭모단체(檀君崇慕團體)들이 주체가 되어 마니산의 제천단, 태백산의 단군전, 그리고 사직단(社稷壇)의 백악전 등에서 경건한 제천의식을 올리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