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정병기기자] 정부가 4대강 사업으로 만들어진 보 16개 가운데 14개 보를 단계적으로 확대 개방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13일부터 한강·낙동강 등 4대강의 16개 보 가운데 14개 보의 수문을 열기로 해, 이로써 4대강 전체 보 가운데 2개를 제외하고 모두 여는 셈이다. 이 중 금강 세종보 등 5개 보는 수문을 전면 개방해 수위를 최저 수위까지 낮출 예정이다.
낙동강 강정 고령 보를 연지 100일째인 지난 9월, 강물은 여전히 녹조 알갱이로 혼탁하다. 정부가 보를 개방한 이후 5 달에 걸쳐 관찰한 결과, 수질이 좋아졌는지 판단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일단 금강의 세종·공주·백제보와 낙동강의 합천창녕보, 영산강의 승촌보 등 5개 보는 ‘최저수위’에 이를 때까지 물을 방류할 계획이다. 물그릇(보)의 가장 낮은 수위(최저수위)까지 물을 흘려보내겠다는 것은 수문을 완전히 개방한다는 뜻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보 수문 완전 개방은 거의 과거와 비슷한 상태(4대강 사업 이전)까지 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6월에 개방한 6개 보 외에 8개 보를 추가로 열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4대강 16개 보 가운데 14개가 모두 열리게 된다. 다만 7개보 중 낙동강 창녕함안보는 취수가능수위까지만 물을 방류하고, 영산강 죽산보는 최저수위보다 조금 높은 하한수위까지 방류한다. 창녕함안보의 경우 대규모 생활용수 취수장이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보 개방은 시간당 2~3㎝씩 점진적으로 실시된다. 주변지역 주민과 수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지난 6월 정부는 낙동강의 강정고령보·달성보·합천창녕보·창녕함안보, 금강의 공주보, 영산강의 죽산보를 대통령의 업무지시에 따라 개방했으나 보 수위는 70㎝(6개보 평균) 남짓 떨어지는데 그쳤다. 환경단체들은 ‘찔끔’ 개방으로는 강의 흐름을 복원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환경운동연합과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실에 따르면, 실제로 보에 담긴 물을 약간 방류하는 시점에만 유속이 빨라지다가 방류가 멈추자 유속이 예전과 같은 수준으로 돌아왔다. 강의 흐름을 복원하겠다는 취지를 전혀 살리지 못한 ‘보 개방’이었던 셈이다. 환경부 스스로도 10일 “제한적 개방 등으로 인하여 개방 수준에 따른 실제 물 흐름 변화와 수질·수생태계 영향, 보 구조물 상태 등 확인이 곤란하여 충분한 자료확보에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수질이 나빠지고 녹조가 관찰됐던 일부 보는 흘려보내는 물의 양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수질개선뿐 아니라 보의 안전성과 강바닥 침식 등 수문 개방에 따른 영향도 정밀 관찰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앞으로 영농기에도 농업용수 취수구에 제약을 받지 않고 수위를 계속 떨어뜨릴 수 있도록 올 겨울에서 올 봄까지 수중펌프 설치 등의 임시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수위가 낮아져 제 기능을 못하게 될 양수장 25개는 수중 모터를 다는 등 시설을 보완해 내년 봄 농사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국토교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은 보 수위를 살짝 떨어뜨리는 수준으로 방류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농업용수 취수구 이하로 수위를 떨어뜨리면 농업용수를 길어올리는 데 지장을 줄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그리고 다섯달 후인 10일 환경부가 주축이 되어 5개 보는 전면개방을, 2개 보는 최대한 개방하는 방안을 만들어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