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뉴스프리존] 전영철기자= 하고 싶은 이야기(2): 충주의료원은 어떻게 정상화되었나.
앞서 청주의료원의 경영정상화 과정을 이야기하였다. 이번에는 충청북도 공공의료의 또 다른 축인 충주의료원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20여 년 전 충주의료원 상황은 노사분규는 청주의료원보다는 적었으나, 만성적 적자와 임금 체불, 그리고 물품 대금 지급 지연은 청주의료원과 마찬가지였다. 나는 청주의료원 경영정상화 업무를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늘 충주의료원에 대한 걱정도 함께하였다.
청주의료원 경영정상화를 시작하고 4개월이 지나 성과가 나오기 시작하자 충주의료원 직원들과도 청주의료원의 경영혁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청주의료원 경영은 정상화가 되어가지만, 충주의료원은 좋아질 기미는 없고 임금 체불과 대금 지급 지연도 줄지 않았다.
20개월 만에 청주의료원 경영정상화가 마무리되자, 1998년 9월에는 충주의료원 경영정상화를 위해 3명이 파견 나갔다. 한 번의 경험은 병원 경영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충주의료원에도 청주의료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직원들의 생각을 공유하고 그 방안을 제도화시켜 직원들에게 믿음을 주었다. 충주의료원에도 의사 호봉제는 폐지하고, 직원채용은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해서 이를 참고로 공개채용을 했다. 중환자실을 개설하고, 응급실과 건강검진센터를 보강하면서, 의료장비도 현대화했다. 임·직원에 대한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면서 의료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서는 페널티를 도입했다.
예산 절감을 위한 각종 아이디어도 업무에 반영하고, 주차장은 유료화했다. 그 외 미비한 점이 있거나 성과가 미흡한 부문이 있으면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제도개혁에 박차를 가했다.
그 결과 충주의료원은 2개월 만에 청주의료원보다 더 좋은 성과가 나오기 시작해서 13개월 만에 개원 이래 처음으로 완전 정상화되었고, 의료의 공공성은 한층 강화되었다. 이후 충주의료원은 전국 최고 의료원으로 거듭났다.
청주·충주의료원 정상화 이후. 우리나라 지방의료원에는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성공한 지방의료원은 별로 없었다. 나는 이 부문을 오랫동안 고민했다. 전국의 모든 지방의료원이 경영정상화에 성공한 청주·충주의료원을 벤치마킹하면서 제 규정도 인용하고, 또한 정상화 이후 청주·충주의료원 원장을 지낸 분들이 다른 지방의료원장으로 가는 데도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후 나는 충남도 복지보건국장을 하면서 이 부문을 살펴보았다.
내가 생각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 부재이다. ‘내가 00 인데’, ‘내가 흑자 병원 경영을 해 봤는데’와 같은 자만(自慢)은 직원들과의 소통 부재가 되었다. 둘째, 기술 부족이다. 혁신을 제도화 시키는 기술이 부족한 상태에서 부분적인 벤치마킹과 땜질 처방은 제규정 간 충돌을 초래하고, 악화(惡化)가 구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술이 부족하면 소통도 소용없고, 혁신의 성과도 기대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성과 분석이 없다는 것이다. 성과에 대한 원인을 성찰하지 않고, 지방의료원은 공공병원이니까 적자가 당연하다는 식의 논리와 경영 부진에 대한 합리화에 빠지면 경영정상화가 불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의료보험제도를 택하고 있어 맹장이나 암 수술 등의 의료행위는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의 차이 없이 똑같은 의료보험 수가를 적용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많이 이용한다고 하나, 급여비율 통계를 보면 ㄴㅅ시의 00병원, ㅅㅅ시의 00병원, ㅊㅇ시의 00대학병원 등이 오히려 인근 지방의료원보다 의료급여비용 비율이 높았다.
결국 지방의료원 경영은 설립 취지에 맞게 누가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어떻게 할 줄 아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지금 청주시나 충주시에는 병원 부속 장례식장은 있으나, 장례만하는 사설 장례식장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는 청주·충주의료원이 장례식장 운영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민들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니 사설 장례식장이 들어설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충주의료원은 경영정상화한 1999년 이후 13년 연속 흑자도 냈으나, 산 중턱으로 이사를 하고 나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문이 들린다. 전문병원이 아니라면 지방의료원은 은행과 같이 교통이 편리한 곳에 있어 접근성이 좋아야 한다. 그럼에도 일부 지방의료원은 소비자인 환자의 편의보다는 공급자인 자치단체 편의에 맞춰 접근성이 부족한 곳에 종종 개설하다 보니 건립 이후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강병국 (전)아산시 부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