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김병호 칼럼] 영월군 환경정책 ‘패닉’ 상태..
오피니언

[김병호 칼럼] 영월군 환경정책 ‘패닉’ 상태

김병호 논설주간 기자 입력 2021/04/10 19:04 수정 2021.04.10 19:23
제천, 단양 시의회 대표자가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있다.(사진=김병호 논설주간)
제천, 단양 시의회 대표자가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있다.(사진=김병호 논설주간)

쌍용양회 산업폐기물 매립장 건설 반대시위가 충절의 고장 영월군 미래를 삼키고 있다.

지난 4월 9일 오후 2시경 영월문화예술회관 광장에서 제천, 충주, 단양, 영월 시 군민과 사회단체가 폐기물 매립장 건설을 반대하며 극렬한 시위를 했다.

이날 제천시민들은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동, 서강 물을 보전해 달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단양군민들은 남한강 수계지역을 지키자며 시위를 했고, 영월군민은 동, 서강 생태계를 황폐화하지 말라고 시위에 동참했다.

쌍용양회 산업폐기물 매립장 건설예정부지는 석회암지대로 절리와 동공이 많아 침출수가 유출되면 13만 제천시민 식수원으로 사용 중인 평창강 일원이 오염되는 중차대한 기로에 제천시는 직면해 있다고 아우성이다.

시위현장에서 익명을 요구한 영월군민은 “주택과 농지가 폐기물 매립예정지 부근에 있으므로 반대시위에 동참했다”라고 말했다.

전국 농민회 총연맹 강원도 연맹 관계자는 “쌍용양회 산업폐기물 매립장 건설 추진을 반대한다.”라는 펼침막을 들고 결사 투쟁을 외쳤다. 충주에서 원정 시위에 참여한 한 시민은 “남한강 수계지역을 오염시키지 말라”라고 절규했다.

영월군을 휘감아 유유히 흐르는 동강은 태백에서 발원해 정선, 평창, 영월군을 흐르며 천혜 비경을 간직하고 있다.

동강은 희귀 동식물 집단 서식처로 생태계 보고이며 골짜기 곳곳에 문화유산과 200개가 넘는 동굴이 감춰진 곳이다.

천문학적 문화가치를 보전하고 있으며 동, 서강을 훼손하는 일은 자자손손 지켜야 할 생태계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비양심적 행위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영월 동강 댐공사도 역사학자, 환경단체, 시민단체의 강력한 반대로 백지화 된 지 20여 년이 지나고 있지만, 오늘의 동강이 온전하게 보전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영월군민들은 보람을 느낀다고 전해지고 있다.

특히, 심각하게 받아 드려야 할 현안은 13만 제천시민의 식수원인 장곡취수장이 가까이 있다는 것이다.

집회에 나선 시위 참가자들 모습.(사진=김병호 논설주간)
집회에 나선 시위 참가자들 모습.(사진=김병호 논설주간)

제천시의회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여기에 있다. 4월 9일 제천시민단체와 시의회 의원 전원이 시위에 동참했다. 시민의 젖줄인 장곡취수장을 보호하기 위해 강력한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쌍용양회는 산업폐기물 매립장 건설계획을 철회하는 것만이 제천시민의 안녕을 향해 손들어주는 아름다운 행보라 여겨지는 것 같다.

한 사업체 금전 욕망이 13만 제천시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우(愚)를 범하는 일이 되어서는 절대 안 될 것이다.

사업을 해도 민폐를 끼치지 않아야 하며 개발 독재 시절처럼 밀어붙이기식 사업추진은 지양토록 하고 사업 경영자 스스로 자각해야 한다.

1960~70년 시절 포항제철이 준공되고 경부 고속도로가 완공되던 시절 개발 독재풍토는 이제 그 막을 내려야 할 것이다.

급변하는 세계 경제 동향을 슬기롭게 간파하고 국내 기간산업체도 그 맥을 스스로 변경시켜야 할 단계에 직면해 있다.

국민이 싫다는데, 시민이 싫다는데 절대 행해서는 안 된다. 이번 서울, 부산 보궐선거에서 국민이 보여준 성숙함을 깨달아야 한다.

생태탕으로 결국 백기를 든 정부 여당을 보면서 잔잔한 감회가 새롭다. 쌍용양회는 13만 제천시민, 3만 단양군민, 3만 영월군민, 21만 충주시민의 절규가 들리지 않는가?

고 정주영 회장은 생전에 이런 말을 했다. “사업가는 실패하면 다시 일으켜 세우면 되지만 신용을 잃으면 영원히 일어설 수 없다.”라는 말을 남겼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