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정수동 기자] 대한애국당 조원진 대표의 막말이 알려지면서 파문이 점차 커지고 있다. 현역의원 신분인 조원진 대표가 '박사모 집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미친**”라고 욕설한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여기에 지난 30일 <서울소리> 백은종 기자가 조원진 페이스북 영상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쌍욕을 하는 장면을 확인하고 조 대표에게 전화하자 '새끼라는 욕을 하지 않았다'고 잡아떼면서 거짓말 논란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다.
“가짜 대통령은 김정은 저 새끼한테 가 가지고 굽신굽신”
현역 국회의원 신분인 대한애국당 조원진 대표는 4·27 남북정상회담 다음날인 28일 서울역 앞에서 열린 태극기집회에서 “6·15 선언을 지키자고, 10·4 선언을 지키자고 그러면은 200조는 들어간다”라며 “핵폐기 한 마디도 얘기 안하고 200조를 약속하는 이런 미친 새끼가 어딨느냐”고 말했다.
그는 “이 인간이 정신이 없는 인간 아닌가. 미친놈 아닌가”라며 “어제 보니까 이 촛불쿠데타 권력 찬탈 명령한 사람하고, 촛불쿠데타 권력 찬탈 수행한 사람, 명령자는 김정은이고 수행자는 문재인이 확실한 거 보셨죠”라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 가짜 대통령은 김정은 저 새끼한테 가 가지고 굽신굽신하고 있다”며 “가짜 대통령 부인이라는 사람은 좀 정숙하던지 나불나불 나불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조원진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제주 4·3 이젠 우리의 역사’ 특별전을 진행하는 것을 두고도 “4·3은 빨갱이의 역사”라며 “문재인 점마 안되겠구나”라고 폄하하기도 했다. 또 이 같은 그의 발언은 4월 30일 jtbc 정치부 회의에서 공개 되면서 파문이 일기 시작했다.
거짓말 논란은 이 같은 영상이 공개된 후 <서울소리> 백은종 기자가 조원진 대표에게 전화 취재를 하면서 불거졌다.
백 기자가 전화를 통해 “조원진 의원은 대우를 받고 싶은 사람인가요, 욕을 먹고 싶은 사람인가요”라며 “대통령한테 미친 새끼라고 하질 않나. 상스러운 새끼 아니야”라고 일갈했다.
이 같은 말은 조원진 대표는 “이 같은 전화 하지마세요”라며 “대통령한테 그런 적 없습니다. 어이, 전화 끊으세요”라며 사실을 부인했다.
“최소한의 금도가 없는 조원진은 국회의원 사퇴시켜야”
조원진 대표의 막말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1일 오후 현안 서면브리핑을 통해 국회의원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김 대변인은 “대한애국당 조원진 의원의 막말이야 하도 유명해서 왠만하면 언급하지 않으려 했는데, 이번에는 나가도 너무 나갔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한애국당 조원진 의원이 남북정상회담을 마친 다음날인 28일 자신들의 몇 되지도 않은 당원집회에서 마이크를 잡더니,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을 연거푸 내뱉었다. 김정숙 여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수준이 낮은 것도 모자라, 제정신이 아닌 사람에게 국회의원직을 주며 세금을 바칠 만큼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한가하지 않다”면서 “표현의 자유에도 정도가 있고, 최소한 넘지 말아야 할 금도라는 게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 같이 말한 후 “제정신으로 볼 수 없는 조원진 의원의 막말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윤리위에 제소해 응분의 조치를 받게 할 것”이라면서 “우리당과 국민들이 이번만큼은 대충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밝혀둔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이 국회윤리위 제소를 천명하면서 징계 수위와 통과 여부에 관심이 간다.
앞서 지난 2015년 9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성폭행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던 심학봉 의원에 대해 만장일치로 제명안을 통과 시킨바 있다.
심 의원은 보험설계사를 성폭행한 혐의로 물의를 빚으면서 당시 새정치민주연합에 의해 품위유지의무 위반 등의 이유로 국회윤리위에 제소됐다. 심 의원은 국회 본회의 직전 사퇴서를 제출하면서 개인윤리 문제를 사유로 현역의원 최초로 제명처분 되는 것은 피할 수 있었다.
국회의원 제명안은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국회의원 사직 건은 국회 비회기 중에는 국회의장의 허가로 처리될 수 있지만, 회기 중에는 본회의 투표에서 재적 의원 과반수 찬성을 통해 처리된다
또 앞서 2011년에도 성희롱 발언 파문을 일으킨 무소속 강용석 의원의 제명안이 본회의에 상정됐지만 부결된 바 있다.
조원진 의원이 국회윤리위에 회부되더라도 제명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출석정지 등 일정 수위의 징계는 가능할 것으로 보는게 타당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