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종전논의 첫 공식 언급.."북미정상회담 前 종전 논의할 것..
정치

종전논의 첫 공식 언급.."북미정상회담 前 종전 논의할 것..선언 나올 수 있다"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 주목

온라인뉴스 기자 onlinenews@nate.com 입력 2018/06/02 09:04 수정 2018.06.02 13:1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북한과 대화가 잘 진행되고 있다"며 신규 대북제재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오는 12일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종전선언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접견한 뒤 기자들과 만나 종전선언 가능성을 묻는 말에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종전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6·12 북미정상회담에서 종전 문제를 다루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종전 선언을 추진하기 위한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릴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종전선언 전망을 묻는 기자에게 "우리는 그것에 관해 얘기를 나눴다"며 "그럴 수 있다. 지켜보자"고 수차례 대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한국전쟁의 종전선언은 역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일"이라며 "우리가 70년이 된 한국전쟁의 종전을 논의한다는 것을 믿을 수 있느냐"고 기자들에게 반문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방미 중인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면담 후 기자들에게 "우리는 현재 매우 중대한 (시행 중인) 제재가 있고, 준비된 수백 개(제재)가 있다"면서 "하지만 준비된 제재를 시행하지 않았고, 시행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혀, 북한과 협상이 지속되는 한 새로운 제재를 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대북제재에 대해서는 "제재는 매우 강력하다"면서 북한이 비핵화를 할 때까지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일정 시점에서는 제재를 해제할 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과의 비핵화 회담이 잘 진행되는 한 신규제재를 가하지 않겠지만, 기존 제재는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제재를 완화 또는 해제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독자제재는 물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북제재까지 염두에 둔 언급으로 보인다.

이는 신규제재 시 초래할 북미 간 새로운 긴장을 피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분위기 조성 차원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김 부위원장과의 면담에서 "제재에 대해 얘기했다"면서 "그들이 제재에 대해 물었다"고 밝혀 김 부위원장이 제재 해제를 요구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최근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북미 관계를 염두에 둔 듯 "우리는 잘 지내고 있다"면서 그동안 사용해왔던 '최대압박'(maximum pressure)이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부위원장 일행이 백악관을 떠난 뒤 기자들에게 "12일 김정은 위원장과 만나겠다"고 밝혔다.

앞서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28일 트럼프 행정부가 검토해왔던 수십 건의 대북 추가 제재를 북미 정상회담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기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90분간 면담…들어갈 땐 긴장, 나올 땐 미소·손짓 여유

이날 면담은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배석한 가운데 약 90분에 걸쳐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00년 조명록 제1부위원장의 클린턴 당시 대통령 면담 때는 45분에 걸쳐 진행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면담 장면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김 부위원장과 면담 후 백악관 집무동 밖에까지 나와 김 부위원장의 차량 탑승을 안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무동을 나와 수분에 걸쳐 통역을 사이에 두고 김 부위원장과 대화를 나눴으며 김 부위원장은 미소를 띠기도 했다.

또 김 부위원장이 면담에 배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북한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국장대행과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전선책략실장을 불러 인사를 시키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과 악수를 한 뒤 북측 대표단 및 폼페이오 장관 등과 함께 기념촬영을 했다.

이날 면담이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예정대로 오는 12일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 이를 뒷받침하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흰색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정장 차림으로 차량으로 백악관에 도착했다. 존 켈리 비서실장의 안내를 받으며 집무동으로 들어갈 때는 다소 긴장된 표정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나올 때는 미소에 손짓까지 해가며 여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조명록 제1부위원장은 당시 면담 시 군복을 입어 호전성을 드러낸 것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었다.

미국 측은 김 부위원장에 대해 켈리 비서실장이 영접을 나오고, 트럼프 대통령이 차량 탑승까지 배웅까지 하는 등 각별한 대우를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