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설날에 차례상 차리는 법을 소개..
문화

설날에 차례상 차리는 법을 소개

김종태 기자 입력 2016/02/07 21:20
차례상 비용 작년보다 3.7% 상승, 차례상 차리는 방법? '치'자 들어간 생선 안돼



차례상 비용 작년보다 3.7% 상승, 차례상 차리는 방법? '치'자 들어간 생선 안돼

[연합통신넷= 김종태기자] 차례상 비용 작년보다 3.7% 상승한 25만 7234원으로 나타난 가운데 차례상 차리는 방법이 네티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우선 차례상에 올리는 생선은 살이 붉거나 이름 끝에 '치' 자가 들어가는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 무엇보다 신선도가 가장 중요한 만큼 눈과 아가미, 배의 상태를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눈알이 맑고 선명하며 앞으로 볼록 튀어나와 있는 것, 배를 눌렀을 때 팽팽하고 탄력이 있는 것이 싱싱한 제품이다.

굴비는 비늘이 고르게 촘촘히 박혀있는 것, 몸통에 비해 머리 부분이 작고 배 부분이 노란색인 것이 좋은 상품이다.

한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21일 서울시내 25개 구 정통시장 50곳, 대형 유통업체 15곳, 가락시장을 대상으로 설 수요가 가장 많은 36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 구매비용은 25만 7234원으로 지난해(24만 7976원)보다 3.7% 올랐다고 밝혔다.


대형 유통업체는 31만 5980원으로 전통시장이 18.6%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락시장 소매가격은 22만 7635원으로 조사됐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과 송파, 영등포구가 평균 27만원대로 높았고 도봉과 마포, 구로구는 평균 23만원대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았다.

소와 돼지 등의 사육 두수가 줄어 육류 가격이 지난해보다 16% 상승하는 등 강세를 보였다.

과일류는 전체 생산량은 많지만 명절용 대과가 부족해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앞서 참조기는 어획량 증가와 정부 비축물량 방출로 지난해 3마리 1만 4772원에서 올해 1만 2600원으로 떨어졌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지역마다 특색있는 설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

◇설 차례상 기본 5열…5가지 원칙 따라야

 설 차례상은 조상의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 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인 제주의 시점에서 오른쪽을 동쪽, 왼쪽을 서쪽으로 본다.

상차림의 기본은 5열이다.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두고 시접(숟가락과 젓가락을 놓는 대접 또는 접시), 술잔을 올리고 설 차례상에는 밥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정면을 기준으로 떡국은 오른쪽에, 술잔은 왼쪽에 두고 시접은 중간에 올린다.

적과 전은 2열에 둔다. '어동육서(魚東肉西)'원칙에 따라 생선은 오른쪽, 육류는 왼쪽에 놓는다. 생선을 놓을 때는 '두동미서(頭東尾西)'원칙에 따라 생선의 머리가 오른쪽, 꼬리가 왼쪽으로 향하게 한다.

3열에는 어탕(생선탕)과 소탕(채소탕), 육탕(고기탕) 등 각종 탕류를 놓는다. 왼쪽부터 육탕, 소탕, 어탕 순으로 올린다.

4열은 '좌포우혜(左脯右醯)' 원칙에 따라 왼쪽 가장 끝에는 북어와 대구, 오징어 등 각종 포를 올린다. 어포를 쓸 때는 배가 아래로, 등이 위로 가도록 두고 꼬리는 자른 뒤 바깥 쪽을 향하게 한다. 포 다음으로는 삼색나물, 간장, 김치 순으로 올리고 오른쪽 끝에 식혜를 놓는다.

5열에는 과일 또는 과자를 올리는 줄로 '홍동백서(紅東白西)'원칙이 적용된다.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둔다는 의미로, 사과와 강정은 오른쪽에 둬야 하며 '조율이시(棗栗梨枾)'에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올린다.

제기에 과일을 올릴 때는 홀수로 올려야 하며 과일의 위와 아래를 한번 돌려 깎아 놓는다. 삼치, 꽁치, 갈치 등 생선의 이름 끝에 '치'자가 붙은 것은 흔한 생선으로 여겨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다.

또 복숭아와 붉은 팥은 귀신을 쫓는 역할을 하므로 제사상에 놓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

◇'돔배기부터 파인애플까지'…지역별 이색 차례상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지역마다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이 다양하기로 유명하다.

먼저 경기도는 상대적으로 고기를 이용한 음식이 많고, 다산과 풍요의 의미를 지닌 통북어를 구이 형태로 올린다. 참조기, 가자미 등의 생선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에 비해 해산물 비중은 적고, 녹두전을 부침류로 올리는 것도 눈에 띄는 점이다.

동해와 남해가 걸쳐있는 경상도는 차례상에 해산물을 많이 올린다. 돔배기라고 불리는 참상어살을 구워서 올리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민어, 방어, 도미 등 여러 종류의 생선과 조개 등의 어패류를 올리기도 하며, 식혜가 유명한 안동에서는 식혜가 필수 차례음식 중 하나로 꼽힌다.

전라도에서는 차례상은 물론 잔칫상에도 홍어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 홍어는 찜, 포, 회, 무침으로 다양하게 이용된다. 또 병어, 꼬막, 낙지 등도 차례상에 자주 오르는 음식이다.

산간지역이 많은 강원도는 나물이나 감자 등 채소를 이용한 차례 음식이 주를 이룬다. 감자전과 메밀전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또 버섯류도 부침의 주재료이다. 해안지역에서는 동해에 풍부한 명태 등으로 만든 생선전도 많이 올린다.

또 충청도는 3도가 인접해 있어 인접지역마다 특색있는 음식들을 볼 수 있다. 경상도 지역이 가까운 곳에서는 건어물인 대구포, 오징어, 피문어 등이 차례상에 올라간다. 또 전라도 지역과 가까운 지역에서는 말린 홍어, 가자미, 낙지 등을 주로 올린다. 바다와 거리가 먼 충북 등지에서는 배추전, 무적과 같은 전과 부침류도 주로 올라간다.

마지막으로 제주도는 지리적 위치상 다른 지역에서 보기 힘든 이색적인 음식이 많기로 유명하다. 특히 제주도 특산물인 옥돔이 유명하며 유명하다. 특히 제주도 특산물인 옥돔이 유명하며 전복을 올리기도 한다. 제주 감귤, 파인애플, 바나나 등 다양한 과일을 준비하기도 한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