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재)국립극단의 김윤철 예술감독, 플로리앙 젤레르(Florian Zeller) 작, 임혜경 역, 박정희 연출의 <아버지(Le Père)>를 관람했다.
플로리앙 젤레르(Florian Zeller 1979-)는 동시대 프랑스연극을 대표하는 극작가이자 신예 소설가이다. 2002년 약관 22세에 첫 소설 <인공 눈 Neiges artificielles>을 발표해 ‘아셰트 문학상’을 수상하고 프랑스 문단에 데뷔한 후, 그는 2004년 파리 마튀랭극장에서 첫 희곡 <타인 L’Autre>을 공연하여 관객들의 환호와 비평가들의 격찬을 받았다.
<타인>은 2007년 크리스탈 글로브상을 수상했고, 불과 10여년 동안 그가 발표한 6편의 소설과 10편의 희곡들의 절반은 프랑스의 저명한 문학/연극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러나 젤레르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것은 7번째 희곡 <아버지 Le Père>(2012)다. <아버지>는 프랑스의 토니상으로 불리는 몰리에르 작품상을 수상하였고, 2016년 영국 올리비에상 연기상, 미국 토니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오늘날 해외에서 가장 좋아하는 프랑스 연극 중 하나가 되었다. <아버지>는 영화 <플로리다>로 제작되어 2015년 개봉되었다.
임혜경 숙명여대 프랑스 언어문화학과 교수는 신임 한국불어불문학회 제50대 회장이다. 임 교수는 숙명여대를 졸업하고 프랑스 몽펠리에III대학교에서 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난 1985년부터 숙명여대 프랑스 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해왔으며, 2012~2014년 문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2009년부터 현재까지 '극단 프랑코 포니' 대표를 맡고 있다.
연출가 박정희는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독문학을 공부한 뒤, 독일 Frankfurt a/M Goethe 대학에서 영화연극미디어학과 수학(1988-1994)했다. 연출과 배우로 다양한 경험을 쌓아 올린 박정희는 1996부터 2000까지 극단 사다리의 상임 연출을 지냈다. 그녀가 국내 귀국 후, 아동극을 선택한 것은 서정성과 이미지, 신체적 상징을 가장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는 무대가 아동극임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그 후 2001년 극단 풍경을 창단하고 <하녀들>과 <평심>을 선보이며 보다 독자적인 행로를 선택하였다. 극단 풍경 대표, 동숭아트센터 연출부, 옥랑문화재단 연기 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연출작은 <타오르는 추억> <피터와 늑대>, <공주님의 달> <브레멘 음악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거울 속의 내가> <하녀들> <평심> <발코니> <청혼하려다 죽음을 강요당한 사내><은하궁전의 축제> <달의소리> <하녀들> <새벽 4시 48분> <기타맨> <응시> <예술하는 습관> <햄릿 업데이트> <철로> <죽음의 집 2> <러브 앤 머니> <가족이란 이름의 부족> <이영녀> <시련> 그 외의 다수 작품을 연출했다.
<아버지 Le Père>는 노인성 치매와 관련된 연극이다. 2016년에는 국립극단 뿐 아니라 각 극단마다 치매관련 연극을 경쟁하듯 공연하고 있다.
금년 상반기에 치매관련 연극으로는 연희단거리패 30주년 기념공연 윤대성 작, 이윤택 연출의 <첫사랑이 돌아온다>, 공상집단 뚱딴지와 엠표컴퍼니 공동제작, 김나영 작, 문삼화 연출의 <밥>, 극단 이루의 손기호 작 연출 <엄마가 낳은 숙이 세 자매>, (유)장수상회문전사의 이연우 이난영 작, 안경모 연출, 박상원 협력연출의 <장수상회>, 극단 노을의 오세곤 예술감독, 강재림 작 연출의 <에브리 맨(Every Man)>, 극단 한양레퍼토리의 김수미 작, 신동인 연출의 <잔치>, 극단 76단의 기국서 작 연출의 <리어의 역(役)>, 금천연극협회의 전형재 작, 송미숙 연출의 <언더스터디(Understudy)>, ㈜ 도향엔터테인먼트&극단 사랑무대의 장도현 예술감독 작 연출의 가족휴먼코미디 <아버지의 꽃구경>, 극단 풍경의 고영범 작, 박정희 연출의 <방문> 그 외에도 다수 작품이 치매관련 연극이다.
치매발병의 가장 주요원인은 음주습관이다. 음주자는 거의 90%가 노인성 치매를 앓게 된다. 우리나라가 세계 술 소비 1위국이라는 오명을 달고 있으니, 치매환자가 많은 것이 분명하고, 그렇기에 치매관련 연극이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는 듯싶다. 국립극단에서 다른 나라의 치매작품까지 가져다 공연을 하는 것을 보면.
무대는 치매환자의 집 거실 겸 요양원의 1실로 설정이 된다. 의자와 탁자 그리고 백색 안락의자를 이동 배치함으로써 장면변화에 대처한다. 치매환자는 과거의 일은 제대로 기억을 하지만 현재의 일은 기억을 못 한다. 이 연극의 주인공인 노년의 아버지도 마찬가지로 기억상실증 때문에 현실과 과거를 제대로 구별하지를 못 하는 것으로 설정이 된다. 자신의 두 딸 중 살아있는 큰 딸과 생활을 하지만, 큰 딸의 이혼과 재혼으로 프랑스를 떠나 런던으로 가며, 아버지를 요양원에 입원시키게 된다.
아버지는 죽은 막내딸을 기억하고, 큰 딸의 전 남편을 기억하지만, 딸의 새 남편은 5년을 같이 살았어도 낯이 설다. 자신에게 가장 귀중품인 듯, 아버지는 시계를 일정한 장소에 감추듯 보관을 하고는 자신의 팔목에 시계가 없다며 찾는 모습이라든가, 사랑하는 딸 이외에는 다른 사람은 구별하기가 어렵다는 설정이다. 게다가 딸과는 달리 사위라는 인물의 냉정함과 무례함이 관객의 가슴을 때리기도 한다. 대단원에서 요양원에 홀로 남아 소파위에 소년처럼 어머니를 그리며 웅크리고 있는 아버지의 모습에서 공연은 끝이 난다.
박근형 선생이 2012년 국립극단 연극 <3월의 봄>에 고 백성희 선생과 함께 출연한 이후 연극 <아버지 Le Père>에서 치매를 앓고 있는 주인공 노인 역을 맡아 명연을 펼친다. 김정은이 딸로 출연해 호연을 보인다. 최광일, 이동준, 정혜선, 우정원 등 출연자들의 호연과 성격창출이 극적 분위기를 상승시키고 관객의 갈채를 이끌어 낸다.
무대 여신동, 조명 김창기, 의상 김우성, 소품 김혜지, 분장 백지영, 음악 장영규 김 선, 음향 최환석, 조연출 변혜훈 그 외의 기술진의 열정과 기량이 드러나, <재>국립극단의 김윤철 예술감독, 플로리앙 젤레르(Florian Zeller) 작, 임혜경 역, 박정희 연출의 <아버지(Le Père)>를 성공적인 공연으로 만들어 냈다./박정기 문화공연칼럼니스트
newsfreezon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