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배수현기자] 25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윤영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국토부가 가진 방치건축물 지진대책은 ‘안전조치가 필요한 현장은 출입금지와 가설자재정리 등의 조치가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것이 사실상 유일했다.
전국에 산재한 공사중단 방치건축물 387곳이 지진에 사실상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도시 가운데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교원대 등의 연구진이 지난 6월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한 주요 도시에 대한 지진재해도 관련 논문에 따르면 대도시 가운데 대구의 지진재해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과 대전, 광주, 서울이 뒤를 이었다. 지진재해도는 과거의 지진 기록을 토대로 미래에 지진으로 인한 지반운동의 크기가 어느 정도일지 예측하는 것을 말하는 개념이다. 해당 지역에서 얼마큼 강한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수치라고 할 수 있다.
논문에 따르면 대구의 최대지반가속도(PGA)는 500년, 1000년, 2500년 빈도별로 각각 0.08g, 0.115g, 0.19g로 나타났다. 최대지반가속도는 지진의 힘을 표시하는 단위로, 해당 지점에서 지반이 얼마나 강하게 흔들리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국내 원전은 최대지반가속도 0.1g(규모 6.0 정도)의 지진이 일어나면 수동정지, 0.2g(규모 6.5 정도)의 지진이 일어나면 자동정지된다. 원전의 내진설계가 규모 약 6.5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규정돼 있는 것을 감안하면 대구에서는 2500년마다 한 번씩 원전이 위험할 수 있는 규모의 강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1000년에 한 번은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셈이 된다.
대구 다음으로 큰 지진이 날 가능성이 높은 도시는 부산으로 500년, 1000년, 2500년 빈도별 최대지반가속도가 0.08g, 0.12g, 0.18g로 나타났다. 1000년 빈도에서는 대구보다 부산의 위험성이 더 큰 셈이다. 서울, 대전, 광주의 최대지반가속도는 500년, 1000년, 2500년 빈도별로 0.07~0.075g, 0.10~0.11g, 0.16~0.17g 사이로 나타났다.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날 경우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건물이 많고, 인구가 밀집된 국내에서는 이번 경주 지진보다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12일 경주 지진의 여진은 22일 오전 6시 이후 23일 오후 6시까지 36시간 넘게 멈췄다가 23일 오후 6시21분쯤 다시 발생했다. 기상청은 23일 오후 7시 현재 규모 1.5 이상 여진 횟수는 모두 425회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다소 잦아들긴했지만 앞으로도 수개월간 여진이 이어질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지진에 대한 불안이 계속되면서 경북도교육청은 지난 19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진행 중일 때 지진이 발생할 경우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했다고 이날 밝혔다.
도교육청은 특히 지역에 따라 지진이 발생한 지역과 발생하지 않은 지역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전국 고사장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진이 발생한 특정 지역만 시험을 중단하면 공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차질 없는 수능시험을 위해 여진에 대비해 상황 대처 매뉴얼을 최대한 신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orea100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