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확 줄어든 씀씀이 文 정부 출범 예산집행 내역 공개..
정치

확 줄어든 씀씀이 文 정부 출범 예산집행 내역 공개

김현태 기자 입력 2017/06/08 08:54

▲ 청와대 홈페이지에 게시된 5월 세출 집행상황ⓒ청와대 홈페이지

[뉴스프리존= 김현태기자]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강조하고 있는 청와대가 5일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예산집행 내역을 전격 공개했다. 특수활동비를 최소화하고 예산집행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청와대 원칙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직무정지됐을 때인 지난 1~4월 당시 기본경비만 매달 11억~16억원에 달했던 점에 비춰보면 크게 줄어들었다.
 

앞서 청와대는 박근혜 정부 청와대의 특수활동비 사용액을 공개하면서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높이겠다고 했는데 이에 따른 조치이다. 특히 '기본경비'의 경우 박 전 대통령의 직무정지 기간이었던 1월에서 3월과 파면 이후인 4월에도 매달 10억 원이 넘게 집행됐다.

또 정보시스템 구축과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화’ 지출액은 5월 3천100만원에 불과했다. 이 역시 박 전 대통령이 탄핵으로 파면됐던 지난 4월 8억6천845만원을 지출했던 것과 큰 차이가 난다. 하지만 5월 들어서는 이 경비가 4억3000만 원으로 줄었다.


기본경비는 인쇄비나 교통비, 사무용품 구입비 등 그야말로 일상 업무에 쓰는 돈이다.


지출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인건비는 매월 비슷한 규모로 지출됐는데 5월에도 26억6천872만원이 사용됐다. 그 다음으로 높은 국정운영지원 지출액은 13억4579만원이었다. 국정운영지원은 대통령의 원활한 국정운영 보좌를 위한 사업비를 말한다.
 

이에 따라 청와대의 총 세출 규모는 지난 4월 61억7천607만원에서 5월 44억8천193만원으로 줄었다. 올해 예산의 사업별 설명자료도 공개됐다.

올해 청와대 예산총액은 총 880억6천330만원이다. 이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건 역시 인건비로 346억9천130만원이 편성됐다. 이어 국정운영지원(287억6천200만원), 기본경비(195억3천200만원), 정보화(46억2천500만원), 국가안보 및 위기관리(4억5천300만원)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imht1007@gmail.com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