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손상철기자] 자유한국당 지도부가 스스로를 ‘실패한 기득권 세력’이라고 규정하는 등 자성의 시간을 가졌다. 한국당에 대한 초청인사들의 쓴소리도 쏟아져 나왔다. 자유한국당 여의도연구원과 보수성향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가 18일 국회에서 개최한 제2차 보수가치 재정립 연속토론회에서 한국당을 향한 질타가 쏟아졌다. 대통령 탄핵, 대선 패배 등으로 보수 존립이 어려워졌음에도 한국당이 안일한 진단과 대응을 하고 있다고 참석자들은 비판했다.
한국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과 보수성향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가 18일 오전 국회에서 개최한 ‘제2차 보수가치 재정립 연속토론회’에서는 참석자들의 고언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국정농단 파문에 따른 현직 대통령의 탄핵 사태와 뒤이은 역대 최대 표차의 대선 패배 등 초유의 위기 국면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대혁명에 준하는 쇄신과 보수 가치 정립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당 지도부도 보수의 위기에 공감했다. 힐난의 대상이 된 홍 대표조차 토론회 자료에 실린 축사에서 “국민이 보기에 한국당은 실패한 기득권 세력일 뿐”이라고 했고, 정우택 원내대표는 “망망대해에서 나침반을 잃어버린 돛단배처럼 그저 파도에 몸을 싣고 떠도는 신세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홍준표 대표는 토론회 자료에 실은 축사에서 “한국당은 보수정당의 가치를 지키지 못했다. 가치가 아닌 이익을 추구하는 체질로 변질됐다”며 “‘그래도 보수는 능력이 있다’는 믿음마저 국정 실패를 겪으며 무너졌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지금 국민이 보기에 한국당은 실패한 기득권 세력일 뿐”이라며 “보수는 수구, 웰빙이라는 뫼비우스의 띠를 깨뜨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형준 동아대 교수는 발제에서 “공천파동과 총선패배, 국정농단과 탄핵사태, 대선참패를 겪으면서도 누구 하나 정치적 책임을 지는 사람도, 물으려는 사람도 없다”며 “대선에서 참패한 후보가 바로 당대표가 됐다. 국민이 과연 정당성이 있다고 생각하겠느냐”며 홍준표 대표를 비판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도 축사에서 “가장 큰 위기는 우리 자신에게 있지만 위기라는 말조차 무덤덤하게 받아들일 정도로 무기력해져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수 이념을 좇기보다는 기득권과 이익을 추구했고 변화하기보다는 수구적인 행태를 반복했다”며 “지금 보수는 안팎으로 혁명에 준하는 쇄신과 개혁을 단행하지 않으면 더 이상 존속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양승함 연세대 명예교수는 “탄핵을 부인하거나 좌파 색깔론, 음모론을 주장한다면 헌법적 제도를 부정함으로써 사회적 불안정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라며 “보수의 우경화 내지 극우화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온 박형준 동아대 교수는 “대선에서 참패한 후보가 바로 당대표가 됐다. 국민이 과연 정당성이 있다고 생각하겠느냐”며 홍 대표를 비판했다. 그는 “극우 성향의 ‘영남 6070정당’의 프레임에 갇혀 있다. 좌파정권 실정의 반사이익에만 의존하는 정당이 미래가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오히려 최후의 일각까지도 알량한 힘을 놓지 않으려고 발버둥 치는 ‘노추의 정치인’들만이 눈에 띌 뿐”이라고 지적했다. 나성린 한양대 특훈교수는 “촛불에 의한 정권교체는 자유민주주의의 후퇴를 의미하고 문재인정부 또한 그러한 광장민주주의에 의해 교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나성린 한양대 특훈교수는 “젊은 세대들은 승리감에 도취해 있으나 그들이 좌파 정치세력에 이용당하고 있다는 것은 모르고 있다”며 “촛불에 의한 정권교체는 자유민주주의의 후퇴를 의미하고 문재인 정부 또한 그러한 광장민주주의에 의해 교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다른 소리를 했다.
kojis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