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슾리존=손상철기자] 8·27 전당대회에 안철수 전 대표가 출마할 것으로 알려지자 국민의당 당내 호남 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안 전 대표는 6일 당 혁신방안을 담은 비전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당내 의원 12명은 3일 성명을 통해 “안철수 전 대표의 당 대표 출마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성명에는 조배숙, 주승용(이상 4선), 유성엽, 이찬열, 장병완(이상 3선), 황주홍(재선), 김종회, 박주현, 박준영, 이상돈, 장정숙, 정인화(이상 초선) 의원이 참여했다. 김경진 의원은 개인 성명을 내고 안 전 대표 출마 반대를 촉구했다. 박지원 전 대표는 4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내 의원 40명 중 30명 이상이 출마를 적극 만류하고 있다”면서 “후보등록 기간인 오는 10~11일까지 안 전 대표가 출마를 철회하도록 계속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황주홍 의원도 “제보 조작 사태가 3·15 부정선거하고 똑같다는 것은 아니지만 국민이 보기엔 대선 결과를 뒤집어 이겨보 겠다는 범죄행위를 저지른 셈”이라고 지적했다. 김경진 의원도 안 전 대표의 8·27 전당대회 불출마를 공개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입장 자료를 내 “안철수 전 대통령 후보께서 당 대표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고 한다”며 “이런 결정이 과연 당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다시 돌이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민의당 고문인 박양수 전 의원은 이날 동교동계(김대중 전 대통령 측근 그룹)의 탈당 대신 안 전 대표의 출당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안 전 대표의 지금까지의 행위를 보니 출당 조치를 할 수 있는 요건이 된다”면서 “제보조작 등으로 당을 위기에 몰아넣었고 제보조작 사건에는 안 전 대표의 측근이 있다. 법적 책임은 없지만 도의적으로 당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당 분위기가 악화되자 박 비대위원장이 나서서 자제를 당부했다. 그는 비대위 회의에서 “당직자 등이 안 전 대표 출마에 찬반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결론을 유보하고 7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현재 전준위에 안 전 대표 출마 반대파들이 포함된 만큼, 공정한 룰 마련을 위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들의 공통적인 안 (대통령, 전후보)에 대하여 “대선 패배와 이유미 씨 증거조작 사건의 여파로 당의 지지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다”며 “이번 전당대회에서 우리는 대선 패배와 증거조작 사건으로부터 자유로운 지도부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가 국민 앞에서 모든 것을 내려놓고 반성과 자숙의 시간을 보내겠다고 고개를 숙인 것이 불과 보름 전이었다”면서 “그 보름 동안 달라진 것은 증거 조작 사건에 대선 지도부가 연루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지만, 그것으로 대선 패배의 책임이 덮어지고 정치에 복귀하는 명분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 전 대표의 혁신안엔 전국정당화를 위한 방안도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고자 호남 이외 지역에서 인재 구하기에 나설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이런 방안이 갈등의 소지가 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안 전 대표가 ‘인적쇄신론’이라도 들고나온다면 ‘호남파’와 ‘친안파’의 전면전 양상이 연출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