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손상철기자] 지난 4일부터 한국당은 국회 보이콧 3일째인 6일 안보의원총회 개최를 시작으로 투쟁을 이어갔다. 의사일정을 전면 보이콧 하고 있는 자유한국당이 국회 대신 해병대 전방 부대를 찾았다. 북한의 핵실험 도발을 규탄하고 안보 태세를 점검하기 위한 자리로, 의원총회에서는 ‘북핵 관련 대토론회’도 열고, 경기 김포의 해병대2사단도 방문했다. 한국당 소속 의원들은 이날 본회의와 국회의장이 주재한 상임위원장 간담회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특히 북핵 해법을 놓고 엇박자를 보이는 정부와 여당을 겨냥해 마치 '코미디'를 하는 것 같다며 강한 비판도 이어가며 국회 본회의가 열리던 시각 바로 맞은편 회의실에서 '안보 의원총회'를 연 데 이어, 속내는 적당한 기회에 보이콧을 끝내고 싶지만, 실리도 돌아갈 명분도 찾기 어려운 진퇴양난이 됐다.
하지만 다른 정당의 시선은 여전히 싸늘하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자유한국당이 의회 민주주의 자체를 부정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부당 노동행위 혐의를 받는 인사를 감싸기 위해 의무를 외면하는 건 제1야당의 모습이 아니라고 지적, 외관상 강경 투쟁을 이어나가는 모습이지만 속내는 다르다. 보이콧으로 더 이상 얻을 것이 없다는 목소리가 당내에서도 나온다. “방송 장악 저지”를 주장하며 시작한 국회 보이콧은 MBC 김 사장이 자진 출석하면서 체포 영장 발부에 대한 투쟁의 빛이 바랬다. 당장 이날 한국당의 투쟁 일정에는 MBC 등 방송사 관련 내용이 사라졌다. 당 관계자는 “이런 안보 위기 상황에서 국민들이 MBC 문제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을 지 모르겠다”며 “MBC 문제를 전면에 세워야 되는지도 고민”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도 한국당이 안보를 챙겨야 할 현장은 해병대 군부대가 아니라 국회라며 무책임한 보이콧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같은 보수 야당인 바른정당은 한국당의 국회 복귀를 요구하면서도, 집권 여당을 향해서도 야당 시절 발의했던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내용을 담은 방송법 개정안을 즉시 처리해 방송 장악 의도가 없다는 걸 보여야 한다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한국당이 주말 정부·여당을 규탄하는 대규모 집회를 예고한 가운데 정치권이 국회 파행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국회 보이콧 전면에는 정우택 원내대표가 나선 모양새가 됐지만 정작 원내를 이끄는 정 원내대표는 국회 보이콧으로 얻을 것이 별로 없다. 교섭단체 대표연설 기회를 놓쳤고, 보이콧이 길어진다면 내주부터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대정부질문 등 국회 일정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제1야당이 존재감을 과시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리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투쟁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보이콧 중단 시 책임론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회 보이콧 3일만에 자유한국당이 출구를 찾고 있다. 명분으로 내세웠던 MBC 김장겸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는 김 사장이 자진출석하며 맥이 빠졌고, 북한의 핵실험으로 안보 위기까지 겹치자 국회를 비운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