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충남도, 화력발전소의 초미세먼지 영향력 확인 가능해졌다..
지역

충남도, 화력발전소의 초미세먼지 영향력 확인 가능해졌다

박성민 기자 psmin1217@naver.com 입력 2020/07/30 16:38 수정 2020.07.30 16:45
- 3차년도 화력발전소 주변 기후환경 영향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 화력발전소, 도내 초미세먼지에 시간 최대 11%·일 최대 2.4% 영향
도는 3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기후환경 영향 연구용역(3차년도)’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충남도청
도는 3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기후환경 영향 연구용역(3차년도)’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충남도청

[뉴스프리존,내포=박성민기자] 화력발전소가 충남도내 초미세먼지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도는 3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기후환경 영향 연구용역(3차년도)’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1·2차년도에 설치한 측정소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통합 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이번 3차년도 연구용역은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대전대, 강원대가 맡았다.

3차년도 세부 분야별 연구계획은 ▲대기환경 정보 구축 ▲대기질 측정 분석 ▲생태환경 모니터링 등 3가지다.

대기환경 정보 구축 분야에서는 실시간 생활권 대기질 정보 제공 반응형 웹 운영, 주민 의견 수렴 등을 추진했다.

반응형 웹은 지역 주민들의 환경 관련 알권리 보장을 위해 전국 최초로 운영 중인 시스템으로, 대기환경기준 일평균 농도 초과 현황 등 실시간 생활권 대기질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는 기후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뒤 그 결과를 알리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지난해 2∼3월의 초미세먼지 관측값과 모델링 결과값을 분석한 결과로, 화력발전소가 도내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에 시간 최대 11%, 일 최대 2.4%의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냈다.

지역 주민들은 이러한 대기환경 정보를 반응형 웹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접근이 어려운 주민들의 경우 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다.

아울러 연구진은 발전소 소재 4개 시·군을 대상으로 4차례 주민 설명회와 190여 건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지역 주민의 발전소 관련 요구사항 8개 분야 17건도 수렴했다.

대기질 측정 분석 분야에서는 환경 취약 주변지역의 대기질 조사를 목표로 조기경보 시스템 도입을 위한 모델식 개발 및 최적화 연구를 진행했다.

주요 연구 과제는 ▲환경민감 지역 대기질 조사 ▲저탄장 비산먼지 실시간 산정 ▲배출량 산정 모델식 개발 ▲비산먼지 조기경보 시스템 최적화 방안 연구 등이다.

대전대는 다중회귀모형식을 이용한 옥외 저탄장 및 회처리장 비산먼지 배출량 조사 기법을 개발해 그동안 국가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비산먼지 배출량 도출이 가능함을 보여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비산먼지 발생 관련 비산먼지 경보제를 운영하고, 피해 규모 해석 근거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생태환경 모니터링 분야에선 생물종 영향 분석과 생물다양성 관리 방안 마련에 방점을 두고,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분야별 종 목록 구축을 추진했다.

강원대는 화력발전소 주변 생물 분포 현황을 분석하고 취약종을 파악했으며, 주요 수종의 나이테를 조사해 수은 농도 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곤충·포유류·어류 등에 대한 생태환경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수달과 2급인 삵이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

수달은 당진·보령 지역에서, 삵은 태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각각 무인카메라와 배설물, 발자국 등으로 감식해 발견했다.

시계열 분석을 위한 나무의 나이테 연도별 수은 농도 분석 결과에서는 화력발전소보다 인근 산업단지 가동 시기에 수은 농도가 높았음을 확인했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화력 발전으로 인한 피해를 수치로 표현하기 어려웠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화력발전소가 미세먼지 등 대기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게 됐다”며 “조사·연구 자료를 지속 수집하고, 누적된 데이터를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전환 정책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