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안데레사기자] 국민 노후자금인 국민연금이 이명박 정부 당시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동원돼 큰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명박 정부 자원외교 실패 사례가 또 드러났다. 북미 지역 가스전 사업 한 곳을 매각하면서 투자금 전액을 날린 것.
정의당 심상정 의원은 국민연금이 지난 2011년 이후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1조 천2백여억 원을 투자했지만, 이후 5년간 회수된 금액은 천4백여억 원으로 회수율이 12.8%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지난 25일 에 따르면, 2009년 5월 이명박 정부 당시 지식경제부는 산업은행을 내세워 자원개발펀드를 조성, 3367억원을 들여 세 곳의 북미 지역 가스전에 투자했다. 하지만 올해 6월까지 수익률은 마이너스 96%를 기록했다.
앞서 지난해 5월 산업은행은 손실이 커지면서 미국 텍사스주 가스전에 투자한 ‘트로이카 2’ 사업을 매각했고 투자금 1084억 원 중 102억 원을 매각료로 ‘회수’했다고 밝혔다. 게다가 사업별 회수율도 연평균 0.5~4.1%에 머물면서 국민연금이 밝힌 대체투자 수익률 8.2%에도 한참 밑돌아 사실상 커다란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보도에 역사학자 전우용씨는 SNS를 통해 “주인을 속여 쓸데없는 물건 사게 만드는 머슴놈은, 그 쓸데없는 물건의 소유주와 한패이거나 실소유주”라며 “이명박 자원외교로 국책은행과 공사들은 수천억에서 수조원에 이르는 돈을 날렸지만, 그 돈은 분명 ‘사라고 한 놈’ 주머니로 날아갔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심 의원은 국민연금 투자 요건이 완화되기 전인 2010년 총리실 주재로 연기금 기관의 해외자원개발 투자역량 강화 방안이 논의됐고,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에도 국민연금 투자 유도가 결정됐다며, 국민연금이 사실상 MB의 자원외교에 동원됐다는 의혹이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