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바른정당, 분당 치닫는 이번 주 3일이 고비..
정치

바른정당, 분당 치닫는 이번 주 3일이 고비

김현태 기자 입력 2017/10/30 09:59 수정 2017.10.30 10:11
▲ 뉴스프리존 DB자료

[뉴스프리존=김현태기자] 보수 통합 문제를 두고 바른정당의 분당이 눈앞으로 다가온듯하다. 자유한국당과의 통합을 추진 중인 바른정당 통합파가 29일 만나 통합 방식과 탈당 시점에 대해 논의했다.

통합파 의원들은 늦어도 바른정당의 전당대회 전까지는 탈당하겠다고 한 만큼, 이번 주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김무성 의원을 구심으로 한 통합파는 당 대 당 통합을 목표로 다음달 1일 의원총회에서 동료 의원을 끝까지 설득하자는 데 중지를 모았다. 탈당 시점은 다음달 3일 예정된 한국당의 최고위원회 결과를 주시하기로 했다. 이날 한국당 최고위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김무성 의원을 비롯한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이 비공개 회동을 했다. 지난주 해외 국정감사를 마치고 귀국한 김무성 의원이 통합파 의원들의 모임을 시사하면서 통합 논의가 다시 탄력을 받은 것이다. 통합파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 김무성 의원 사무실에서 만나 약 1시간 동안 의견을 나눴다. 김 의원은 지난 2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해외 국정감사를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이 일정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이 주재한 모임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강길부, 김영우, 김용태, 오신환, 정양석, 주호영, 황영철 의원 등 8명이 참석했다. 통합파 가운데 이종구, 홍철호 의원은 불참했다. 황영철 의원은 회의 뒤 “한국당 최고위에서 내리는 결과가 이번 통합에서 가장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라면서 통합파 탈당의 최대 변수로 한국당의 인적 청산 의지를 꼽았다. 이어 “1~2명 선도 탈당은 없고 최소 7~8명 이상이 함께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정당의 새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는 다음 달 13일 열리는데, 그전까지는 탈당하겠다는 게 통합파 의원들의 입장이다. 바른정당 통합파는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를 통합의 최소 명분으로 요구해 왔다. 만약 한국당이 명분을 마련해 주는 데 실패하면 통합파의 집단행동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통합파 측이 ‘문재인 정부 견제를 위한 보수대통합’만 앞세워 탈당할 수도 있지만 바른정당의 창당 명분이 ‘친박(친박근혜) 청산과 보수 혁신’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여론의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번 주 중으로는 구체적인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이는데, 문제는 자유한국당 내 상황이다. 보수통합 명분인 박 전 대통령을 비롯한 친박 정리가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친박 청산이 늦어질 경우 빨리 탈당해 한국당 홍준표 대표 측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진정한 보수 통합을 위해서라면 어떻게든 유승민 의원과 함께 가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바른정당은 전당대회 후보 등록을 마감했는데, 유승민 의원을 비롯한 후보들이 모두 자강파로 분류돼 반쪽짜리 전당대회가 펼쳐지게 됐다. 이런 가운데 바른정당은 본격적인 전당대회 경선에 돌입했다. 후보로는 유 의원, 정운천 의원, 박유근 당 재정위원장, 하태경 의원, 정문헌 전 사무총장, 박인숙 의원 등 모두 6명이 등록을 마쳤다. 이들은 다음달 3일과 5일 경선 토론회를 거쳐 6일에는 방송 2사(KBS·SBS) 초청토론회에 나설 예정이다. 그러나 그 전에 의원 1명이라도 탈당하면 교섭단체 의원 수에 미달해 공중파에서 토론회를 열지 못한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