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MB 청와대, 국정원 개혁위 정부 비판적인 명진스님 동..
정치

"MB 청와대, 국정원 개혁위 정부 비판적인 명진스님 동향보고 지시"

손상철 기자 kojison@naver.com 입력 2017/11/08 02:01 수정 2017.11.08 02:10

[뉴스프리존= 손상철기자] 지난 6일 국정원이 새롭게 밝힌 사실 중에 하나가 MB정부 국정원이 정권에 비판적이었던 종교인, 명진스님에 대해 동향을 파악하고 부정적 여론까지 퍼뜨렸단 것이다. MB정권 당시, 국정원으로부터 사찰 받고 공작 당한 사실이 공식 확인된 명진 스님이 자신의 봉은사 주지 퇴출은 비공식적으로 진행된 결과일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국정원 개혁위 권고에 따라 검찰이 수사를 시작하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더 드러날 것이라고도 했다. 7일 JTBC 뉴스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다. 명진 스님의 JTBC 출연 후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검색 1위는 명진 스님이었다.

JTBC는 이날 명진 스님 관련 뉴스 두 꼭지를 보도했다. "명진 스님 뒤로 '국정원 그림자'"에서는 명진 스님이 이명박 정부 당시 정권과 각을 세웠던 사실을 상기시켰다. 지난 2011년 명진 스님은 "원세훈 국정원장은 사퇴하라. 국가정보원을 국가망신원으로 개명하라"고 했다.

이런 일이 있은 후 국정원은 동향 보고를 넘어 인터넷으로 명진 스님에 대한 부정 여론을 퍼뜨렸다고 했다. 조계종 내부 적폐청산 요구하던 스님이 승려로서 품위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승적이 박탈 당한 사실, 지난 여름 스님이 조계종 적폐청산을 위해 단식했던 사실도 보도했다. 이 때문에 MB정부 청와대가 국정원에 사생활 등을 파악해 보고하도록 했다는 게 국정원 개혁위의 발표 내용이다. 이런 지시를 받은 국정원은 동향을 보고하는 걸 넘어, 인터넷을 통해 명진스님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도 퍼뜨렸다.

하지만 명진스님은 이명박 정부를 지나 박근혜 정부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여기에 조계종 내부의 적폐청산도 요구했는데, 이 과정에서 "승려의 품위를 지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지난 4월 승적을 박탈당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명진스님은 국정원 사찰에 대한 진상규명과 조계종 개혁 등을 요구하며 단식투쟁을 했다. "MB 정부에 각세우다가 '사찰' 당한 명진 스님" 제하의 보도에서는 국정원 개혁위가 명진 스님을 사찰했지만 봉은사 주지 퇴출 과정에서 국정원이 영향력을 행사한 근거 찾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를 알렸다.

명진 스님은 "자승 원장이 당시 747지원단을 만들어 이명박 후보의 대통령 선거운동 직접 했다. 당시 이명박 후보의 형인 이상득 의원이 봉은사에 와서 신도들과 인사하게 해달라는 청탁을 내가 거절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 후에는 초파일 등값을 보내온 것을 내가 돌려보낸 일도 있다. 정직하지 않은 분의 등을 켜주는 것 옳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고 말했다.

스님은 "국정원이 계획적으로 나를 봉은사 주지에서 물러나게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보다 원세훈, 이상득 등 (개인적으로) 전화해서 지시했을 것"이라고 했다. "공식 절차에 따라 나를 퇴출시키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스님은 "지난 2009년 10월 자승 원장이 조계종 총무원장 당선 후, 11월 13일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를 만났고, 그 자리에서 '좌파주지 그대로 두느냐'는 안 대표의 말에 '임기가 보장되서 어쩔 수 없다. 여러가지로 생각해보겠다'고 했다. 그 다음에 봉은사를 직영사찰로 전환하려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봉은사가 사고사찰도 아니고 당시 위상이 높고 좋은 평가를 받아왔는데 총무원이 갑자기 직영으로 바꿨다. 무리하게 직영전환을 시도했고 결국 직영사찰로 만들었다"고 했다.

JTBC 손석희 사장은 "(국정원 조사 결과) 일단 드러난 것은 없지만 말씀으로는 드러났다기 보다 얼마든지 조성했을 것이냐"면서 "국정원이 검찰에 수사를 권고 했다. 수사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나올 것으로 보느냐"고 물었다.

스님은 "(수사를 바로 한다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원세훈 이상득 통화기록 조회하면 뭔가 나올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스님은 "당시 자승 총무원장이 이명박 정권과 긴밀한 관계 속에 종단을 운영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2009년 12월 28일 자승 원장이 박형준 정무수석을 대동해서 천안 음식점에 충남 지역 주지스님들을 모아놓고 세종시 백지화 나서 이명박 대통령을 돕자고 나섰다"고 예를 들었다.

앞선 6일 국정원 개혁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청와대가 명진 스님의 사생활을 파악·보고하고, 비위사실 및 좌파활동 경력을 인터넷상으로 적극 확산할 것을 국정원에 요청했다고 발표했다. 또, 조사과정에서 확인된 원세훈 전 원장의 명진 스님에 대한 비위 수집ㆍ심리전 전개 지시 등 행위는 직권 남용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해 검찰에 수사의뢰하도록 권고했다.

국정원 개혁위 조사 결과는 국정원 실무라인이 명진 스님을 뒷조사하고 여론을 왜곡하는 공작은 했어도 조계종 종책에 관여한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는 것으로 읽힌다.

JTBC에서의 명진 스님 발언은 자신의 봉은사 주지 퇴출은 국정원 실무라인 차원이 아니라 안상수 대표와 자승 원장과의 회동처럼 정권 고위층과 자승 원장 선으로 이야기가 오갔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수사를 권고 받은 검찰이 수사를 계속 하다가 보면 당시 정권이 조계종 인사에 개입한 또 다른 증거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