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저널그날 전태일 평화시장 분신 바보회 근로기준법 태일피복 어머니 이소선 홍경인 하종강 인간선언 우리는 재봉틀이 아니다 서거 50주년 전태일 역사저널그날 283회 10월 13일
1970년 11월 13일 동대문 평화시장 에서 세간에 충격을 일으킨 사건이 발생합니다.
평화시장에서 일하던 한 재단사의 분신이었는데요.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를 부르짖으며 죽어갔던 그의 이름은 바로 ‘전태일’이었습니다.
노동자들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 그가 남긴 작은 불씨는 훗날 노동운동의 거대한 횃불로 번졌습니다.
전태일의 진면모를 속속들이 알려주기 위해 <역사저널 그날>을 찾아온 특별한 손님은 영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의 주역, 배우 홍경인과 인기 웹툰 <송곳>의 실제 모델이었던 성공회대 노동아카데미의 ‘하종강’ 교수와 함께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평화롭지 못했던 평화시장의 다락방
1960~70년대 전국 의류 유통의 70%를 담당하던 동대문, 그리고 그 안의 평화시장이 있었는데요.
전태일은 이곳에서 견습공으로 일을 시작했습니다.
당시 평화시장의 공장은 3m방을 수평 가림막으로 나눈 협소한 공간에 2만 여명의 노동자가 다닥다닥 붙어서 작업을 하는 일명 ‘벌집공장’으로 불리던 곳이었습니다.
환풍기 하나 없이 허리를 펴기도 어려운 공간에서 하루 15시간을 일하며, 생계를 이어가기도 어려운 수준의 일당을 받으며 일해야 했던 평화시장의 노동자들이었습니다.
열악했던 당시 평화 시장의 노동 환경을 재현해보았습니다.
전태일을 각성하게 한 근로기준법의 존재
장시간 고된 노동에 노출되어있던 노동자들의 삶을 구제하고 싶었던 전태일이었는데요.
그는 공장에서 함께 일하던 한 어린 여공의 각혈을 목격하고, 근로기준법의 존재를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온통 한자로 되어있는 법전을 독파하는데 3년이라는 시간이 걸렸고, ‘근로기준법을 몰랐던 우리는 바보입니다’라는 의미의 재단사 모임인 ‘바보회’를 결성하여 본격적으로 평화시장의 노동 환경 실태를 알리는데 노력합니다.
하지만 저임금 노동의 거대한 카르텔을 조종하는 사업주들, 그리고 그 뒤에 버티고 있는 근로감독관들의 거대한 현실의 벽을 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자신의 외침을 관철시키고자 고군분투한 전태일의 삶을 들여다보았습니다.
일피복 ? 인간답게 살고 싶었던 전태일의 꿈
진정 노동자들의 인간적인 삶을 위한 사업을 직접 꾸리고 싶었던 전태일이었는데요.
노트에 빽빽하게 적었던 사업계획서는 그대로 실현이 가능할 정도로 구체적이었습니다.
그가 꿈꿔온 ‘태일피복’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면서 충분히 사업을 운영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던 증명과 같았습니다.
전태일이 구상하던 인간다운 사업체는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25년만에 다시 전태일 역할을 맡은 홍경인과 이광용 아나운서가 전태일의 꿈을 무대로 그려보았습니다.
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 말라
숱한 노력에도 바뀌지 않는 현실의 벽에 좌절한 전태일은 결국 죽음으로써 자신이 말하고 싶은 바를 전달하기로 결심합니다.
자신의 몸이 불타는 끔찍한 고통 속에서도 그치지 않던 전태일의 외침이 있었는데요.
모두를 눈물짓게 한 전태일의 마지막 모습 그리고 아들이 유언으로 남긴 약속을 지키기 위해 어머니 이소선 씨는 평생을 노동 운동과 투쟁의 현장에 바칩니다.
넉넉하지 못한 형편임에도 자신보다 더 어려운 약자들을 향해 시선을 돌렸던 전태일.
10월 13일 화요일 밤 10시 <역사저널 그날> “인간선언-우리는 재봉틀이 아니다!” 편에서는 전태일 서거 50주년을 맞아 그가 몸을 불살라가면서까지 외쳤던 메시지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어떤 의미로 남아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