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대주주로 있던 경남기업의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금융감독원이 부당개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성 전 회장은 대주주 무상감자를 피하게 돼 158억원의 특혜를 제공받은 것으로 추산됐다. 당초 실사 회계법인과 주채권은행 등은 대주주 무상감자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금감원 직원들이 개입해 무상감자 없이 출자전환만 할 수 있도록 유도한 사실이 감사원 감사를 통해 확인됐다. 감사원은 범죄혐의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수사기관에 자료를 넘겼다.
[연합통신넷=김현태기자] 감사원은 23일 '금융감독원 기관운영감사'를 통해 금감원 직원이 경남기업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의 채권금융기관협의회 부의안건 작성과정과 부의안건에 대한 채권금융기관의 이의제기 등에 부당하게 개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감사는 지난해 11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뤄졌다. 현행 워크아웃 과정에서는 대상기업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출자전환을 할 때 해당 기업의 기준주가가 발행가보다 낮거나 자본잠식 상태인 경우, 부실책임이 있는 대주주에 대해 무상감자를 선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다.
경남기업 워크아웃 감사과정에서도 실사를 맡았던 회계법인 역시 초기에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당시 회계법인은 2013년 12월21일 경남기업의 경우 재무구조개선을 위해 출자전환이 불가피하며 주식발행가(5000원)에 기준가(3750원) 보다 못해 대주주 무상감자가 필요하다고는 실사결과보고서를 작성해 신한은행에 전달했다. 신한은행은 12월23일 이같은 회계법인의 실사결과보고서를 받아들여 무상감자를 실시하기로 했다.
하지만 금감원 팀장 A씨는 주채권은행이 방문해 이같은 내용을 보고할 것을 요구한 뒤 '대주주의 입장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담당 국장이었던 김진수 전 금감원 부원장보(당시 국장)는 이례적으로 실사회계법인 담당자들을 불러 회사와 대주주의 입방을 잘 반영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금감원이 부실책임이 있는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해 대주주 무상감자를 실시하지 않도록 특혜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은 결국 금감원 관계자의 요구를 받아들여 회계법인에 대주주 무상감자 부분을 삭제해줄 것을 요구한 뒤, 경남기업 대주주가 무상감자 없이 출자전환만 하는 것으로 부의안건을 작성했다. 이후에도 금감원은 채권금융기관들의 반발을 무마하는 데에도 개입했다. 당시 다수의 채권기관이 "부실책임있는 대주주의 무상감자 없는 출자전환은 구조조정의 기본원칙을 훼손했다"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김 전 부원장보와 A팀장은 해당 채권기관 임원이나 담당자를 호출해 신속히 동의할 것을 종용했다.
금감원 직원들의 이같은 노력 등의 영향으로 경남기업은 무상감자 없이 출자전환을 할 수 있었고 대주주는 특혜를 받게 됐다. 감사원은 당시 경남기업의 대주주였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158억원 가량의 이득을 얻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대주주 손실액 109억원과 무상감자 없이 출자전환 함으로써 받은 이익 49억원이 포함됐다.
그 결과 2014년 3월 무상감자 없이 출자전환하는 것으로 작성된 부의안건이 그대로 결의됐고 경남기업은 무상감자 없이 1천억원의 출자전환을 받을 수 있게되는 등 대주주인 성 전 회장에게 특혜가 부여됐다.이 과정에서 금감원은 공식적인 검토·보고 자료나 금융위 등 정책당국과의 협의도 없이 불투명하게를 업무처리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이와 관련해 감사원은 당시 경남기업 워크아웃에 개입한 A팀장에 대해 징계처분을 요구했다. 하지만 김 전 부원장보와 상급자들은 이미 퇴사해 별도의 문책요구를 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감사원은 이미 수사자료를 넘겨 수사기관의 수사결과에 따라 법적 책임을 물게 될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감사원은 기업구조조정 지원업무를 수행하면서 법적 근거 없이 채권금융기관의 자율적인 심의·의결 사항 등에 부당 개입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을 요구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감사과정에서 범죄 혐의와 관련된 개연성이 있어보이는 부분이 확인돼 수사기관에 자료를 넘겼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범죄 혐의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