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삼학수행은 어떻게 하는가..
오피니언

삼학수행은 어떻게 하는가

김덕권 기자 duksan4037@daum.net 입력 2021/03/25 11:25 수정 2021.03.25 11:28

우리 덕화만발 가족 중에 박수만님이 계십니다. 오랫동안 한 결 같이 덕화만발을 지켜 오신 분으로 <사랑하고 살아도 세월이 너무 짧다>고 외쳐 오신 분이지요. 이 분이 3월 24일자 덕화만발 <원하면 원하는 대로>에 이런 댓글을 올리셨습니다.

「오늘도 스승님의 귀한 법문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긴 글 주시느라 참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 동안 정신수양⸳사리연구⸳작업취사 삼학(三學)에 대해 여러 번 말씀을 주셧습니다. 도반님들이야 그리 쉰 걸 하시겠지만, 막상 생활에 결부하려니 세세 목이 좀 필요합니다. 행동 요령까지 좀 세목을 주세요. 복사를 하여 옆에 두고 보게요. 좋은 봄맞이 하세요. 늘 감사합니다.」

그렇습니다. 삼학수행에 모두들 열심이시지요? 그래도 아직 삼학수행과 그 행동하는 방법을 몰라 혹 방황하시는 분들이 계신 것 같아 우리 박수만 동지가 요청하신 대로 삼학수행과 그 행동요령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삼학은 인격완성의 세 가지 공부법입니다. 정신수양(精神修養)·사리연구(事理硏究)·작업취사(作業取捨)를 삼학이라 하지요. 삼학은 원불교의 종지(宗旨)인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신앙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는 수행법으로 진리성과 사실성을 기본성격으로 삼고 있습니다.

첫째, 정신수양입니다.

정신이란 마음이 뚜렷하고 고요하여 분별 성(分別性)과 주착 심(住着心)이 없는 경지를 지칭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양(修養)이란 안으로 분별 심과 주착 심을 없이하며 밖으로 산란하게 하는 경계에 끌리지 아니하여, 뚜렷하고 고요한 정신을 양성함을 말하는 것이지요.

둘째, 사리연구입니다.

사리연구의 경우, ‘사(事)’는 인간의 시비이해(是非利害)를 말하고, ‘이(理)’는 천조(天造)의 대소유무(大小有無)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대소유무의 ‘대(大)’는 우주만유의 본체, ‘소(小)’는 만상(萬象)이 형형색색으로 구별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유무(有無)’는 춘하추동 사시순환과 풍우(風雨) 등, 만물의 생로병사와 흥망성쇠(興亡盛衰)의 변태(變態)를 이르는 것이며, 연구란 사리를 연마하고 궁구(窮究)함을 뜻합니다.

셋째, 작업취사입니다.

‘작업(作業)’은 무슨 일에나 눈·귀·코·혀⸳입 등의 감관기관(感官機關)이 작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취사(取捨)’는 정의(正義)는 취하고 불의(不義)는 버림을 뜻하지요.

그럼 이 삼학수행은 어떤 방법으로 하면 좋을까요? 다음 8조로 하면 됩니다.

첫째, 믿음으로 하는 것입니다.

신(信)이라 함은 믿음을 이름입니다. 만사를 이루려 할 때에 마음을 정하는 원동력(原動力)이지요.

​둘째, 분발심으로 하는 것입니다.

분발 심(忿發心)이라 함은 용맹정진 함을 이름입니다. 이 ‘분(忿)’은 만사를 이루려 할 때에 권면(勸勉)하고 촉진하는 원동력이지요.

셋째, 의심을 해보는 것입니다.

의심(疑心)이라 함은 일과 이치에 모르는 것을 발견하여 알고자 함을 이름입니다. 만사를 이루려 할 때에 모르는 것을 알아내는 원동력이지요.

넷째, 정성으로 하는 것입니다.

정성(精誠)이라 함은 끊임없는 마음을 이름입니다. 그야말로 <지성여불(至誠如佛)>의 정신으로 하는 것입니다, 만사를 이루려 할 때에 그 목적을 달하게 하는 원동력이지요.

​다섯째, 불신(不信)은 버리는 것입니다.

불신이라 함은 신의 반대로 믿지 아니함을 이름이지요. 만사를 이루려 할 때에 결정을 얻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섯째, 탐욕(貪慾)을 버리는 것입니다.

탐욕이라 함은 모든 일을 상도(常道)에 벗어나서 과히 취함을 이름입니다.

​일곱째, 게으름을 버리는 것입니다.

게으름을 ‘나(懶)’라고 합니다. 이 ‘나’는 만사를 이루려 할 때에 하기 싫어함을 이름이지요.

​여덟째, 어리석음을 버리는 것입니다.

어리석음을 한문으로 ‘우(愚)’라고 합니다. 이 ‘우’는 대소유무(大小有無)와 시비이해(是非利害)를 전혀 알지 못하고 제멋대로 행동함을 말하는 것이지요.

어떻습니까? 이 팔조(八條) 가운데 신(信)과 분(忿)과 의(疑)와 성(誠)은 반드시 취해야 합니다. 그리고 불신과 탐욕과 게으름과 어리석음은 기필코 버려야 삼학수행을 원만히 길러 삼대력(三大力)의 위대한 인격을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불보살(佛菩薩)이 되느냐 못 되느냐는 바로 이 ‘삼학 팔조’ 수행에 달렸습니다.

우리 모두 이 삼학수행을 닦아 부처가 되고 보살이 되면 얼마나 좋을 까요!

단기 4354년, 불기 2565년, 서기 2021년, 원기 106년 3월 25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