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프리존]안데레사 기자= 지난 8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민주당) 20∼30대 초선의원 5명은 이날 입장문에서 "검찰개혁은 많은 국민이 공감하는 정책이었으나 추미애-윤석열 갈등으로 국민의 공감대를 잃었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검찰개혁의 대명사라고 생각했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이 분노하고 분열한 것은 아닌가 반성한다"고 자성했다.
자당의 박용진 의원은 라디오에서 구체적으로 "그동안 민주당은 사법개혁에만 열중한 모습을 보였다"며 국민연금, 인구감소, 기후변화, 노동개혁 등 민생과 밀접한 개혁과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권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민주당의 '협치 실종'을 지적하며 이번 재보선 결과가 "민주당이 그동안 너무 독주한 데 대한 죗값"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이런 발언들을 살펴보면, 청와대나 정부와 거리를 두는듯한 발언도 나오고 있다.
또, 당정청 '원팀' 기조를 강조하며 청와대와 다른 목소리 내기에 소극적인 모습이었던 것과 달라진 모습이다.
여기에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그동안 당청 관계에서 수평적 대화 채널이 전혀 구축돼 있지 않았다"며 "당이 사실상 청와대 출장소에 가깝게 일방적으로 끌려다니다 보니 이 상황까지 왔다"고 지적했다.
이와관련하여 전날 의총에서는 "이제 청와대도 바뀌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이야기가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노웅래 의원(최고위원)도 전날 "세금을 인하해야 하는데 재정 문제만 생각해서 사사건건 당과 부딪히고 마찰을 빚었던 홍남기 경제부총리에게 확실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정부를 정조준했다.
그러나 '처럼회' 일원으로서 '조국 지키기'에 앞장섰던 김용민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검찰개혁 때문에 졌다고 하는 것은 완전히 틀린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그는 "선거 국면에서 검찰개혁이 하나도 안 나왔는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가 터졌다. 검찰개혁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지고 최종적으로 졌다고 평가할 것은 아니다"라며 기존의 개혁 노선을 유지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문제는 그러나 사람에 관한 것으로 모인다. 당을 혁신할 주체도, 내각 개편에서 등용할 인물도 민심을 다시 얻어낼 신선한 자원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당정이 명심할 것은 조국 사태 이래 켜켜이 쌓여간 시민들의 실망과 분노는 여당 국회의원과 내각 등용 인사들의 불공정, 부도덕 탓도 컸다는 점이다.
인사 혁신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여권의 변화 의지는 인정받기 어려울 것임을 시사한다. 지난해 총선에서 위성정당 비례대표 후보자 공천이 급행으로 진행되면서 이들의 재산신고 누락과 시민단체 자금 유용 의혹이 불거진 것부터 최근 밝혀진 여권 인사들의 '내로남불' 전월세 인상에 이르기까지 악재가 빈발했다.
그런데도 일부는 여전히 당적을 가진 채 활동하고 있고 이는 당내 리스크가 되고 있다. 평균적 도덕률에도 모자라는 인사들이 집권 주류와 가깝다는 이유로 여당 의원이 되어 입법 활동을 하고 국무위원이 되는 실태는 촛불 민심을 앞세우는 개혁 정당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범여권의 당밖 인사들이 대통령 엄호를 앞세우거나 진보를 가장하며 민심과 동떨어진 상황인식과 논평을 일삼는 것도 위협 요소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을 텐데, 하고 억울한 정서를 보이기도 한다. 이번 선거 캠페인의 주된 호소가 거짓말쟁이 심판이었던 것도 그 연장선이다. 그러나 그건 국민이 판단할 몫이지 민주당이 재단할 성질이 아니다. 밭을 탓하는 농부는 어리석다.
전대와 원대 선거를 통해 당은 대표와 최고위원, 원내대표 등 당의 간판에서부터 쇄신의 기운이 시민들에게 체감되도록 변해야 한다. 개각한다면 분위기 좀 바꿔보자는 치장에 그쳐선 안 될 것이다. 그럴 거라면 안 하느니만 못하다. 인사청문회 부담과 인재 풀의 한계가 있더라도 참신한 탕평 인사를 통해 기풍이라도 쇄신하는 효과를 거둬야 한다. 집권 주류의 마지막 인사 잔치는 가장 경계할 일이다.
야당에선 내각 총사퇴 이야기까지 슬쩍 나왔으나 무게가 실린 것 같지는 않다. 청와대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당정에 넘겨야 한다. 집권 초부터 이 정부 역시 과거 정부와 다를 바 없는 '청와대 정부'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제라도 만기친람식 국정 관여는 절제하고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정 역량을 총동원해도 모자란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대통령과 내각의 응집력을 높이고 대통령의 국정 메시지 정치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그간 시민들은 대통령의 메시지에서 더러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을 발견하며 고개를 갸우뚱했다는 사실을 안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