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눈으로 그린 사랑
오피니언

눈으로 그린 사랑

김덕권 기자 duksan4037@daum.net 입력 2021/05/03 23:33 수정 2021.05.03 23:36
부부의 시

<눈으로 그린 사랑>이라는 글이 실화인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어느 동지가 보내 준 글인데 하도 애틋합니다. 인생 말년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마지막 부부애의 교훈을 보여 주는 것 같아 함께 가슴에 담아 봅니다.

【봄이 그려지는가 싶더니 여름이 지나가고, 산마다 단풍잎 물들이는 가을이 오고, 이제 겨울이 왔습니다. 그리고 겨울이 머물러 있는 이 마을엔 달과 별들도 부러워 한다는 금실 좋은 노부부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밭에 일하러 나간다는 할아버지의 등 뒤엔 지게가 아닌 할머니가 업혀져 있었지요. “임자... 밖에 나오니 춥지 않아?” “영감 등이 따뜻하니까 춥지 않네요.” 앞을 못 보는 할머니를 업고 다닌다는 할아버지는 “임자... 여기서 앉아 쉬고 있어 밭에 씨 좀 뿌려놓고 올 테니...”

씨앗 한 움큼을 던져 놓고 할머니 한번 쳐다보는 것도 모자라 “초가삼간..♬ 집을 짓는 ♪내 고향 정든 땅♪♩” 구성진 노래까지 불러주고 있는 모습에 이젠 할머니까지 손뼉을 치며 따라 부르고 있는 게 정 겨워 보였는지 날아가던 새들까지 장단을 맞추어주고 있는 걸 보는 할아버지의 눈가는 촉촉이 젖어오고 있었습니다.

“나만 볼 수 있는 게 미안하다며....” 눈물 짓고 있는 할아버지는 봄처럼 푸른 새싹을 여름 햇살에 키워 가을을 닮은 곡식들로 행복을 줍던 날들을 뒤로한 채, 찬 서리 진 겨울 같은 아픔을 맞이하고 말았습니다. 고뿔이 심해 들린 읍내병원에서 큰 병원으로 가보라는 소리에 할머니 몰래 진찰을 받고 나오는 할아버지의 얼굴엔 하얀 낮달이 내려앉았습니다.

할아버지는 자신이 암(癌)에 걸렸다는 걸, 할머니에게 말하지 않은 채, 평소와 다를 바 없이 산과 들로 다니며 행복을 줍고 있었지만, 갈수록 할머니를 업기에도, 휠체어를 밀기에도 ​힘에 부쳤습니다. 그 가는 시간을 들키지 않으려고 할아버지는 안간힘을 쓰고만 있었지요.

노부부의 앞마당 빨랫줄에 매달려 놀고 있던 해님이 달님이 불러서인지 점점 멀어지고 있을 때, “임자... 됐어…. 됐다 구!” “읍내에 갔다 오더니 뭔 말이래요?” “그동안 고생했어.” 할머니에게 망막 기증을 해준다는 사람이 나섰다며, 봄을 만난 나비처럼 온 마당을 들쑤시고 다니고 있는 할아버지의 애씀이 있어서인지 시간이 지나 할머니는 수술대에 누워 있습니다.

“임자... 수술 잘될 거니까 걱정 마러!” “그래요... 이제 나란히 손잡고 같이 걸어갑시다.” ‘이다음에 저승에서 만나면 꼭 그렇게 하자’는 그 말은 차마 하지 못한 채, 돌아서는 할아버지가 떠나시면서 남기고 간 선물로 눈을 뜬 할머니는

펼쳐진 세상이 너무나 신기하다는 듯 바라보시더니 이내 할아버지를 찾습니다.

“임자... 이제 그 눈으로 오십 평 생 못 본 세상 실컷 보고 천천히 오구려, 세상구경 끝나고 나 있는 곳으로 올 땐 포근한 당신 등으로 날 업어 떨어져 있던 시간만큼 못다 한 이야기나 해주시구려! ​비록 멀어졌지만, 우린 함께 세상을 보고 있는 거라고...”

쓰여 진 편지를 읽고 난 할머니는 할아버지가 잠들어 있는 하늘가를 향해 소리치고 있었습니다. “​당신의 등 뒤에서 세상을 바라볼 때가 더 행복했다고!”】

어떻습니까? 이 노부부의 사랑노래에 가슴이 찡하지 않으신가요? 덕화만발 카페 <우리들의 운문 방>에는 ‘사랑하며 살아도 세월이 너무 짧다’고 외치는 박수만 님의 <부부>라는 시(詩)가 올려 져 있습니다. 이 <눈으로 그린 사랑>이라는 글과 연상되어 가만히 이 시, <부부>를 낭송해 봅니다.

<부부>/ 詩, -박수만-

「부부는 젓가락 이다/ 짝을 가즈런히 하는/ 꼭 맞는 젓가락 이다.

상 위 아무리 좋은 먹을거리라도/ 젓가락 짝이 맞지 않으면/ 집어 먹을 수가 없지/ 삶의 밥상 위에서/ 부부가 서 있다/ 짝을 맞추어야/ 세상 밥상위에 놓인 행복도/ 부부가 서로 협조해야/ 행복을 얻을 수 있다.

남편이 작아 보이면/ 아내가 낮추고/ 아내가 작아 보이면/ 남편이 낮추고/ 가지런한 젓가락이/ 좋은 음식을 먹듯/ 부부가 서로 맞추어야/ 세상 행복을 얻을 수 있다.

나 잘 낫 네 하고/ 남편을 깔본다든가/ 나 잘 낫 네 하고/ 아내를 업신여기면/ 그 짝이 맞지 않는 부부는/ 가정의 평화와 행복을 누릴 수 없다.

생각해 보라/ 자식 만들 때처럼/ 짝이 맞아야/ 부부가 서로 키를 맞추어야/ 세상 행복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

부부의 사랑은/ 서로 나를 낮추는 게 사랑이다/ 남편 보고 낮아지라고 해도 안 되고/ 아내 보고 낮아지라고 해도 안 되며/ 서로가 밥상바닥 두들겨 짝을 맞추듯/ 내가 낮아져야 한다.」

그렇습니다. 참 부부라는 것이 묘합니다. 서로 남남으로 만나 짝을 맞추어 평생을 해로(偕老)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눈으로 그린 사랑>처럼, 나날이 쇠약해지는 아내를 바라보는 제 가슴은, 제 모든 것 다 주고 가도 아까울 것이 하나도 없네요!

단기 4354년, 불기 2565년, 서기 2021년, 서기 106년 5월 4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