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덕산 칼럼] 나라를 구한 한 병사의 잘린 다리..
오피니언

[덕산 칼럼] 나라를 구한 한 병사의 잘린 다리

김덕권 기자 duksan4037@daum.net 입력 2021/06/27 22:09 수정 2021.06.27 22:15
6월25일이 한국전쟁 전쟁 71주년

엊그제 6월25일이 한국전쟁 전쟁 71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제 나이 11살 때입니다. 서울에 인민군이 쳐들어왔다는 소식에 우리 식구도 부랴부랴 피난 보따리를 싸들고 한강을 건너려고 서울 옥수동 산기슭에 도착하였습니다. 이미 한강다리는 폭파한 후였습니다. 한강 북쪽에는 괴뢰군과 남쪽에는 우리 국군이 대치하며 치열한 전투가 전개 되었지요.

도저히 한강을 건널 재간이 없어 당시 청구 동 집으로 돌아 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후, 아버지는 의용군으로 끌려가시다가 탈출하여 막 참전한 미군 제 24사단에 군속으로 근무하시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어머니를 따라 어린 동생들과 걸어서 임진강에서 배를 얻어 타고 건너서 지금은 갈 수 없는 비무장지대 경기도 장단 고향집으로 피난을 갔습니다.

그 고난의 행군을 어찌 말로 다 표현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9.28 서울수복 후, 서울 집으로 돌아 왔다가 이듬해 1.4후퇴를 맞아 또다시 충청북도 진천으로 피난을 갈 수 밖에 없었지요. 그 난리 통에 할아버지는 폭격으로 돌아 가셨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악전고투 끝에 살아남아 서울의 집으로 무사히 돌아 올 수 있었습니다.

신동수(辛東秀) 일등병과 맥아더 장군과
신동수(辛東秀) 일등병과 맥아더 장군

오늘은 6,25 때 나라를 지켜낸 고(故) 신동수(辛東秀) 일등병과 맥아더 장군과 의 얘기로 그날의 상황을 전해드립니다. 6.25 전쟁의 승리는 별을 단 내로라는 유명한 어느 장군이 아닙니다. ‘벙커(bunke)를 목숨을 걸고 사수했던 말단의 한 일등병 병사였어야 한다.’는 실제 이야기입니다.

맥아더 장군이 전황 파악 차 북한군과 대치하고 있는 최전방 벙커를 지키고 있는 어느 한국 말단 병사를 우연히 만나 이렇게 물었습니다. 맥아더 : “전세가 이렇게 밀리고 있는데 당신들은 왜 도망가지 않느냐?” 신동수 일등병 : “후퇴하라는 명령은 없었습니다.”

이에 감동한 맥아더 : “지금 내가 들어줄 수 있는 소원을 하나 말하라. 들어 주겠다.” 한국병사 : “충분한 실탄과 총을 지원해 주십시오.” 자신을 이 벙커에서 빼달라는 대답을 예상했던 맥아더에게 이 한국군 병사의 뜻밖의 말은 충격적이고 감동이었습니다.

이 말단 병사의 말 한마디에 감동한 맥아더는 막사로 돌아와 즉시 이렇게 지시 했다고 합니다. “우리는 전력을 다해 이 나라 (대한한국)를 지켜주어야 한다.” 그래서 인천상륙작전은 재빠르게 속도전으로 바꿔 진행되었고, 수 만 명의 미국병사가 한국을 위해 전사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이 일화는 사실일까요? 사실입니다. 2006년 허영한 기자가 취재한 내용입니다. 이 일화의 주인공은 학도병으로 6·25 전쟁에 참전해서 상처를 입어 다리까지 절단된 ‘고 신동수 일등병’이 직접 들려 준 이야기입니다.

맥아더 : “병사! 다른 부대는 다 후퇴했는데, 자네는 왜 여기를 지키고 있는가?” 병사 : “저는 군인입니다. 상관의 명령 없이는 절대 후퇴하지 않는 게 군인 입니다. 철수 명령이 있기 전까지 죽어도 여기서 죽고, 살아도 여기서 살 겁니다.” 1950년 6월 29일, 당시 스무 살의 한 일등병은 서울 영등포에 있던 진지(陣地) 에서 맥아더 미 극동군사령관과 이런 대화를 나눴습니다.

전쟁이 터진지 나흘째, 이미 한강 이북은 인민군에 의해 점령된 상태였습니다. 그곳은 남한의 부대가 마지막까지 버티던 한강 방어선이었고, 맥아더 장군은 도쿄에서 날아와 전황을 돌아보던 참이었습니다. “정말 훌륭한 군인이다. 내가 일본으로 건너가면 즉시 지원군을 보내 주겠다.”

이 군인에게 감동 받은 맥아더 장군은 그의 어깨를 툭툭 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약속대로 맥아더장군은, 곧바로 한국전 참전을 실행에 옮겼습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관계자는, “맥아더 장군이 당시 한국군 병사의 말에 감동을 받아 참전을 결심했다는 사실은 참전 장성 회고록 등, 여러 문서에서 확인된다.”고 말했습니다.

허영한 기자가 수십 년째 묻혀 져 있던 이 신동수(辛東秀·77, 2006년 취재당시 나이)옹을 찾아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으로 향했습니다. 그는 왼쪽다리를 절었습니다. 양말에 가려졌지만, 한눈에도 의족(義足)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기쁨인지, 고통인지 모를 옛 전투 이야기를 시작하자, 신 옹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낮아졌다 했습니다.

그가 속한 부대는 백골부대 18연대 1대대 3중대 이었습니다. 6월 29일 이들은 지금 영등포구 양화동의 인공폭포공원 인근에 진지를 편성해 놓고 있었습니다.

다른 대대는 물론 같은 대대 다른 중대도 후퇴 해버린 외로운 싸움이었습니다. 사흘째 굶고 있던 그때였습니다.

“4명이 지프에서 내리더라고. 처음에는 소련군인줄 알고 쏘아 죽이려고 벙커에서 쫓아나갔어요. 하지만 군모의 마크가 소련군 것과 다른데.......통역이 그분이 맥아더 사령관이라고 했어요.” 하지만 그때만 해도 사령관이 뭐인지도 몰랐다고 합니다. 대화가 끝난 후 맥아더 장군은 그에게 연막탄 2개와 대공 표지판을 선물로 줬습니다.

그리곤 곧 그는 잊어 버렸다고 합니다. 노량진과 영등포까지 진격한 인민군의 총포가 시시각각 가까이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 머릿속에는 오로지 적을 무찌르고,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마음뿐이었으니까요.” 라고 했습니다.

어떻습니까? 그의 잘린 다리가 나라를 구한 것입니다. 우리 그날의 참상을 잊으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후손에게 다시는 그런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게 할 수는 없기 때문이지요!

단기 4354년, 불기 2565년, 서기 2021년, 원기 106년 6월 28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