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6월 29일 모두가 일상을 마무리하고 퇴근을 서두를 무렵 삼풍백화점은 갑자기 종이상자 꺼지듯 무너져 내렸다.
[연합통신넷=심종완기자] 1994년 10월 성수대교가 붕괴해 32명이 사망한 지 채 1년도 되지 않아 강남 법조타운 금싸라기땅에 있던 고급 백화점이 붕괴해 502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또다시 발생해 국민을 허탈하게 했던 것이다. 이날 일어난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모두 502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도 대형 인재(人災)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우리 사회의 재난 관리 시스템 부재와 안전 불감증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하지만 삼풍백화점 참사 이후에도 대규모 인명피해를 동반한 후진국형 인재는 우리 사회 곳곳에서 끊이지 않았다. 1999년 어린이 등 23명이 목숨을 잃은 화성 씨랜드화재와 2003년 340여명의 사상자를 낸 대구지하철 화재, 작년에도 대학생 등 10명이 숨진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와 안산 단원고 학생 등 304명이 희생된 세월호 참사가 있었다.
여전히 대형 인재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난관리 시스템 부재와 안전불감증을 문제로 지적한다. 정부는 대형 참사가 일어날 때마다 부랴부랴 대책을 만들어 내놓지만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하면 똑같은 모습으로 허둥대는 모습만 보인다는 비판을 받았다.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제대로 된 재난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 책임감을 갖고 국민 안전을 위해 일할 수 있는 많은 재난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윤명오 서울시립대 재난과학과 교수는 “두 사건 모두 징후가 감지됐지만 이를 무시했다가 대형 참사로 이어졌고, 사고 초기 구조활동에 실패했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유사한 재난이 되풀이되는 건 정부가 사고 원인을 ‘안전 불감증’으로 돌리고 제대로 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류충 한국소방안전협회 정책연구소장은 “삼풍백화점 참사는 ‘사후 복구’에서 ‘사전 예방-신속 대응’으로 재난 관리 방향이 바뀌는 전환점이 됐다”면서도 “시스템 개혁보다 관료사회의 이익을 뒷받침하는 전담조직 확대에 치중해온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류 소장은 “지휘통제 시스템의 계층 구조를 최소화해 반응 속도를 높이고 운영체제를 일원화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