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삼풍백화점 붕괴 20년'...안전불감증 여전..
사회

'삼풍백화점 붕괴 20년'...안전불감증 여전

심종완 기자 입력 2015/06/29 07:39
1995년 6월 29일 모두가 일상을 마무리하고 퇴근을 서두를 무렵 삼풍백화점은 갑자기 종이상자 꺼지듯 무너져 내렸다.
[연합통신넷=심종완기자] 1994년 10월 성수대교가 붕괴해 32명이 사망한 지 채 1년도 되지 않아 강남 법조타운 금싸라기땅에 있던 고급 백화점이 붕괴해 502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또다시 발생해 국민을 허탈하게 했던 것이다. 이날 일어난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모두 502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도 대형 인재(人災)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우리 사회의 재난 관리 시스템 부재와 안전 불감증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사진=서울 서초구 서초4동 1685-3 삼풍백화점 붕괴사고현장/온라인
하지만 삼풍백화점 참사 이후에도 대규모 인명피해를 동반한 후진국형 인재는 우리 사회 곳곳에서 끊이지 않았다. 1999년 어린이 등 23명이 목숨을 잃은 화성 씨랜드화재와  2003년 340여명의 사상자를 낸 대구지하철 화재, 작년에도 대학생 등 10명이 숨진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와 안산 단원고 학생 등 304명이 희생된 세월호 참사가 있었다.

여전히 대형 인재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난관리 시스템 부재와 안전불감증을 문제로 지적한다. 정부는 대형 참사가 일어날 때마다 부랴부랴 대책을 만들어 내놓지만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하면 똑같은 모습으로 허둥대는 모습만 보인다는 비판을 받았다.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으려면 제대로 된 재난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 책임감을 갖고 국민 안전을 위해 일할 수 있는 많은 재난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윤명오 서울시립대 재난과학과 교수는 “두 사건 모두 징후가 감지됐지만 이를 무시했다가 대형 참사로 이어졌고, 사고 초기 구조활동에 실패했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유사한 재난이 되풀이되는 건 정부가 사고 원인을 ‘안전 불감증’으로 돌리고 제대로 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류충 한국소방안전협회 정책연구소장은 “삼풍백화점 참사는 ‘사후 복구’에서 ‘사전 예방-신속 대응’으로 재난 관리 방향이 바뀌는 전환점이 됐다”면서도 “시스템 개혁보다 관료사회의 이익을 뒷받침하는 전담조직 확대에 치중해온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류 소장은 “지휘통제 시스템의 계층 구조를 최소화해 반응 속도를 높이고 운영체제를 일원화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