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2015 가계금융]가처분소득의 가계부채도 급증세..
경제

[2015 가계금융]가처분소득의 가계부채도 급증세

온라인뉴스 기자 입력 2015/12/21 17:14
자산 70%가 부동산.. 상위 20%가 전체의 58% 보유,. [2015 가계금융]가처분소득의 1/4를 원리금상환에 써..60대 이상의 평균 가계부채도 급증세

[2015 가계금융]가처분소득의 1/4를 원리금상환에 써..60대 이상의 평균 가계부채도 급증세

우리나라 평균 가정은 연간 4767만원을 벌어 843만원을 연금과 세금 등에 쓴다. 이를 제외한 가처분소득 3924만원 중 대출금 원리금상환에 952만원을 사용한다. 실제 지출할 수 있는 소득 중에서 25% 가량을 빚을 갚는 데 쓰고 있는 것이다. '부채 공화국'이라는 오명까지 쓰고 있는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다. 문제는 소득보다 부채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1일 통계청이 한국은행, 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부채는 6181만원이다. 이 중 금융부채가 4321만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체 부채가 2.2% 증가한데 반해 금융부채는 4.9% 늘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는 57.5%에 이른다.

반면 소득의 증가율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가구의 평균 소득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4767만원이었다. 가처분소득 증가율도 이와 유사한 2.7%였다. 소득은 2%대의 증가율을 보이는데 반해 가계의 실질적인 부담이 되는 금융부채는 5%에 가까운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다. 이는 고스란히 가계의 재무건전성에 적신호로 작용한다.

부채가 60세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고 있는 것도 우려할 만한 일이다. 올해 3월 기준 60세 이상의 평균 가계부채는 4785만원으로 전년대비 8.6% 증가했다. 전체 부채 증가율의 4배 가까운 증가율이다.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층의 부채 증가는 가계부채 문제의 또 다른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부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부동산과 관련돼 있다. 우리나라의 전체 가구 중 금융부채 보유가구 비율은 57.5%다. 이들이 담보·신용대출을 신청한 이유 중 '거주주택 마련'이 차지하는 비중은 36.9%로 가장 높았다. 김보경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전세에서 자가로 이전하면서 금융 부채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늘어나고 있는 부채는 고스란히 가계의 부담으로 작용한다. 통계청이 이번 조사와 관련해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7.1%를 차지했다. 지난해 조사와 비교해 0.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비율도 전체의 70.1%를 기록했다.

그나마 긍정적인 것은 소득분배지표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지수계수는 0.3444로 전년보다 0.003포인트 감소했다. 소득분배지표로 활용되는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덜 심하다는 의미다. 지니계수는 2011년 0.357을 기록한 매년 감소하고 있다. 또 다른 소득분배지표인 소득5분위 배율도 지난해 6.54배로 전년(6.69배)보다 줄었다.

이처럼 소득분배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것은 가장 낮은 소득층인 1분위의 소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분위의 소득증가율은 전년대비 4.2%로 가장 빠른 속도를 나타냈다. 2~4분위는 2%대의 증가율을 보였고, 5분위의 소득증가율은 1.8%였다. 기초연금 등의 시행과 맞물려 1분위의 공적이전소득이 확대된 데 따른 결과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최근 고정금리와 분할상환으로 가계부채의 질적구조 개선이 이뤄지고 있고 가계의 상환능력 등을 감안하면 리스크는 제한적"이라며 "고령층의 부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60대 이상 고령층의 자산증가율이 6.4%로 전체 평균인 2.1%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환능력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자산 70%가 부동산.. 상위 20%가 전체의 58% 보유

가구자산에서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70%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실물자산 비중이 높았다. 특히 60세 이상인 가구는 자산의 82.0%를 실물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1일공동 발표한 ‘2015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지난해보다 2.1% 늘어난 3억4246만원으로 집계됐다.

가구의 금융자산과 실물자산은 지난 해에 비해 각각 0.8%와 2.6% 늘었다. 금융자산 평균은 9087만원, 실물자산 평균은 2억5159만원이었다.

실물자산 중 부동산 증가율은 2.9%였다. 전세가가 매매가와 비슷해지면서 전세에서 매입으로 전환한 가구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실물자산 중에서 거주주택보유가구 비율은 전년 대비 1.1%포인트 증가했다. 자산보유가구 중앙값은 2억150만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3.3% 증가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50대인 가구가 평균 4억2229만원으로 가장 많은 자산을 보유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실물자산 비중이 높고, 특히 60세 이상 가구는 자산의 82.0%를 실물자산으로 들고 있었다.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자영업자 가구의 자산이 4억8086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금융자산 비중은 상용근로자 가구가 31.2%로 가장 높고 자영업자 가구는 22.4%였다.

소득 분위로 볼때 최상위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7억6135만원으로 전체의 44.5%를 점유했다. 이는 최하위인 소득 1분위 가구 평균 자산 1억1996만원의 6.3배 정도다. 순자산 5분위별로는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이 10억40만원으로 전체의 58.4%를 차지했다. 5분위 가구의 자산은 실물자산 77.5%와 금융자산 22.5%로 구성됐다.

입주형태별로는 자가 가구 평균 자산이 4억6071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월세보증금 비중이 높은 전세 가구와 기타(월세 등) 가구는 금융자산 비중이 각각 60.6%와 48.8%로 높았다.

여유자금 운용 방법은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에 43.0%, 부동산 구입 27.8%, 부채 상환 23.6% 순이었다. 지난해에 비해 부동산 구입은 4.4%포인트, 부채상환은 0.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 내구재 구입, 기타는 각각 4.1%포인트, 0.3%포인트, 0.4%포인트 감소했다.

금융자산 투자의 주 목적은 노후 대책이 54.0%로 가장 많았고, 주택구입 및 전월세 보증금 마련이 17.5%, 부채 상환 10.0%, 자녀교육비 마련 6.7%, 사고와 질병 대비 3.7%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비해 노후 대책, 부채상환은 증가한 반면, 주택관련, 결혼자금 마련, 자녀교육비 마련은 감소했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예금이 90.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식 4.7%, 개인연금 2.3% 순으로 나타났다. 수익성(13.7%)보다는 안전성( 74.1%)을 우선 고려한 결과다.

1년 후 거주 지역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 가구주의 26.4%가 ‘상승할 것이다’고 답했다. 6.5%는 ‘하락할 것이다’, 49.0%는 ‘변화 없을 것이다’라고 응답했다.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생길 경우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지난해 보다 4.2%포인트 증가한 52.2%로 나타났다.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주의 주된 투자 목적은 내집 마련이 32.6%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노후 대책 25.2%, 임대수입 17.1%, 가치 상승 14.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투자 시 가장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아파트 46.3%, 건물(상가, 오피스텔, 빌딩 등) 23.3%, 토지(논밭, 임야, 대지 등) 14.9%, 단독주택(다가구주택 포함) 12.6% 등 이었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