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일제의 위안부 만행을 알리는 전시관을 찾아가자는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의 시민단체 바른사회시민회의(바른사회)는 14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우리의 치욕적인 역사를 잘 모르고 관심이 적은 젊은층의 역사 바로 알기를 위해 누리집에서 대학생 등을 공개 모집해 전국의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들을 방문하는 캠페인을 벌인다”고 밝혔다.
국비를 지원받아 지난달 부산에 일제강제동원역사관을 설립한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의 박인환 전 위원장과 대학생 7명 등 10여명이 14일 부산을 찾았다.
이들은 정신대문제대책부산협의회가 2004년 개관한 부산 수영구의 ‘민족과 여성 역사관’과 부산 남구 대연동의 일제강제동원역사관을 차례로 방문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꽃다운 나이에 끌려가 일본군을 상대했던 방을 실물처럼 재현한 일제강제동원역사관 5층의 일본군 위안부 전시모형 앞에선 발길을 떼지 못했다.
이들은 일제강제동원역사관을 둘러본 뒤 현장에서 ‘용서와 기억의 차이는 무엇인가?’란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역사관 앞에서 ‘기억은 행동이다’라고 적힌 펼침막을 들고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방문을 호소하기도 했다.
바른사회는 이달 말까지 세계 최초의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이 있는 경기도 광주와 시민들의 힘으로 만든 대구의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을 차례로 방문할 계획이다.
바른사회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찾기 운동을 벌이는 것은 시민단체 등이 오랫동안 노력을 통해 힘들게 개관한 전국의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6곳의 방문객이 너무 적기 때문이다. 우리의 아픈 역사를 기록하고 일본의 전쟁범죄를 세상에 널리 알리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부터 방문하지 않으면서 일제의 만행과 진상규명에 소극적인 일본 정부에 대해 분개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도연 바른사회 정치팀장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방문객이 하루 100~300명씩에 불과한 것은 부끄럽다. 일제 만행을 기억하는 역사관이라고 외치기만 할 것이 아니라 직접 역사관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의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6곳 가운데 4곳은 민간이 운영하고 있다. 정부가 운영하는 곳은 일제강제동원역사관과 독립기념관 일본군 위안부 전시실 등 2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