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4.13 총선여론 심층 분석, 與 텃밭 대구서 '4050의..
정치

4.13 총선여론 심층 분석, 與 텃밭 대구서 '4050의 역풍'

온라인뉴스 기자 입력 2016/03/25 21:28

새누리당 김문수 후보(오른쪽)와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24일 오전 대구 수성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대구 수성갑 선거구 후보자 등록을 하기 앞서 인사한 뒤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뉴스프리존= 온라인뉴스]  박근혜 대통령의 지역적 기반인 대구 민심이 심상치 않다.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지지기반인 대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김부겸 후보가 새누리당 김문수 후보에 우세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라는 낙인에도 불구하고 유승민 의원은 새누리당 경선 조사에서 ‘진박’ 인 이재만 후보에 큰 격차로 앞서고 있다.


대구 민심 이반 지난해부터 감지돼

대구 여론의 이반은 어제 오늘 일어난 일이 아니다. 김부겸 후보는 이미 지난 18대 총선, 2014년 대구시장 선거에서 만만치 않은 득표력을 입증한 바 있으며, 유승민 의원을 향한 박 대통령과 친박 압박에 대한 여론의 반발은 지난 해 6월부터 감지됐다. 국회법 개정안 통과 이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지난해 7월 1주차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찬성하는 대구ㆍ경북(TK)의 여론은 42%로 과반에 미치지 못했다. 유승민 의원의 원내대표 사퇴에 대해서도 46%가 찬성했지만 반대의견이 28%, 응답을 유보한 비율도 27%에 달했다.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대한 압도적 지지를 보냈던 TK 특성을 고려하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민심이반 4050이 주도

대구 민심의 이반을 찻잔 속의 태풍으로만 볼 수 없는 것은 2030 젊은 세대보다 사회의 중추역할을 하는 40대와 정부ㆍ여당의 핵심 지지기반인 50대가 민심 이반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2030 젊은 세대의 경우 대체로 반보수, ‘안티’ 새누리당 정서를 일관되게 보였다는 점에서 새로울 것이 없다. 그러나 40대의 63%가 김부겸 후보를 지지하고, 김문수 후보 지지는 24%에 불과한 점은 눈 여겨 볼 대목이다. 대구 동을 역시 40대의 66%가 유승민 후보를 지지했다.

박 대통령 당선의 일등 공신인 대구 50대의 이탈도 놀랍다. 수성갑 50대 유권자의 54%가 김부겸 후보를 지지했고 동을의 50대 유권자 59%도 유승민 후보를 더 선호했다. 박 대통령과 친박이 유승민 의원을 대하는 입장이 지난해부터 충분히 알려졌던 점을 고려하면 단순한 안티 성향의 표출이나 일시적인 반발로만 볼 수 없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문제는 다시 경제다

다른 세대에 비해 현실적이고 실용적 태도가 강한 4050세대에서 민심 이반이 집중되는 것은 정치적인 이유보다 경제 및 민생 요인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2014년 기준 1인당 대구 지역 총생산은 1,894만원으로 16개 시도 중 최하위였다. 1인당 지역 총소비도 2,288만원으로 전북(2,236만원), 광주(2,377만원)에 이어 하위 세 번째를 기록했다. 주변의 울산, 경북, 경남이 상대적으로 상위권에 있다는 점도 상대적 박탈감을 키운 요인이 될 수 있다.

주관적인 체감경제인식에서도 위기 징후는 뚜렷하다. 지난 2월 21-22일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TK 유권자들의 27%가 “가정경제 상태가 1년 전보다 나빠졌다”고 답했고, 국가경제 상태에 대해선 무려 58%가 “1년 전에 비해 나빠졌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체감경제의 악화는 당연히 정부ㆍ여당에 대한 반감과 심판여론으로 이어진다. 실제로 ”가정경제가 나빠졌다”고 답한 유권자 중 39%가 정권심판론에 동의했으며, “국가경제가 나빠졌다”고 답한 인원 중 35%도 정권심판론에 힘을 실었다.

대구 지역의 경제 불만은 “야당 후보에게도 기회를 주자”는 선택을 가중시키고, 내부 권력 다툼에 빠진 정부ㆍ여당에 대한 반발은 유승민 의원에 대한 지지를 유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다가오는 총선에서 여당이 내부 분란을 원만히 해소하고 경제를 중시하는 여론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대구 지역은 더 이상 집권 여당의 아성이라는 이름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정한울 객원기자(고려대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교수)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