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다시 재현이 되나? 외나무 다리에선 문재인과 안철수..
정치

다시 재현이 되나? 외나무 다리에선 문재인과 안철수

[시사] 김현태 기자 입력 2016/04/15 10:15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가운데)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발언하는 동안 김무성 대표(왼쪽)는 눈을 감고 있고, 안형환 선대위 대변인은 얼굴을 감싸쥐고 있다.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에서는 김 대표와 김태호 최고위원, 황진하 사무총장이 사퇴 의사를 표명하며 고개를 푹 숙였다. 중앙선대위원 35명 중 10명만 참석했다. 그들 뒤 배경판 문구는 ‘국민 뜻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였다.


[뉴스프리존= 김현태기자]  고개를 깊이 숙인 채 자리에 앉은 김 대표는 “국민께서 매서운 회초리로 심판해 주셨다”고 했고, 김 최고위원도 “오만함에 대해 철저하게 반성하고 2004년 탄핵 정국의 ‘천막당사 정신’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반성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당장 쇄신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다급한 마음에 이날 저녁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1시간여 진행된 회의에서는 오전 사퇴 의사를 표명한 김 대표와 김 최고위원 외에 추가로 서청원·이인제·김을동 최고위원이 자리를 내놓기로 했다. 회의에서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된 원유철 원내대표가 총선 전 “절대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했던 유승민 의원 등 탈당 후 무소속 출마 당선자들의 복당도 사실상 100% 수용키로 했다.



반면, 16년 만에 여소야대를 이룬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63)와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54)가 다시 ‘운명의 외길’에서 정면으로 마주섰다.


16년 만에 ‘여소야대’ 정국을 만든 4·13 총선은 대선주자 ‘문(재인)·안(철수)’에게 기회와 위기를 함께 제공했다. 정권 교체를 향한 동반자이면서 숙명의 경쟁자라는 짐도 지웠다. 그만큼 야권의 대선 시간표도 빨라지게 됐다.


이번 총선은 무엇보다 야권의 선택지를 대폭 넓혔다. 안 대표가 국민의당 창당으로 확고한 정치적 기반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은 총선에서 호남 압승에 새누리당 성향의 부동층까지 일부 흡수해 높은 정당 득표율을 기록했다. 안 대표는 14일 서울 마포 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의 변화에 대한 열망을 담아내는 진정한 대변자로 일신 또 일신하겠다”고 다짐했다.


4년 전보다 안 대표의 정치적 비중은 커졌다. ‘밖’(원외)에서 ‘안철수 현상’에 만족해야 했지만 이번엔 ‘안(원내)’으로 들어와 국민과 여의도 정치 모두에서 자신의 진지를 구축했다. 이 때문에 일단 총선 승부에선 안 대표가 문 전 대표보다 유리한 고지에 오른 것으로 평가된다.


문 전 대표도 ‘지역주의’라는 한국정치의 큰 벽을 넘는 성과를 내면서 ‘정치적 스토리’를 만들었다. 부산·경남(PK) 선전의 디딤돌을 놓으면서 호남과 민주화세력 중심의 야권 지지기반이 영남과 수도권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 것이다. 그 성과를 발판으로 원내 제1당을 확보하는 결과표도 받아들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서울 홍은동 자택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 더민주를 전국정당으로 만들어줘서 감격스럽다. 정권교체의 큰 희망을 줬다”고 말했다.


하지만 총선이 두 사람에게 안겨준 기회 요인은 위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호남 승리와 정당 지지세는 뒤집어보면 안 대표의 질곡이기도 하다. 호남 민심을 얻었지만 호남 밖 민심 확보에는 실패했다. ‘정권교체’를 요구하는 호남 민심이 계속 지지할지는 미지수다. 더민주보다 높은 정당 지지도도 대선까지 유지될지 불투명하다.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당은 전략투표, 교차투표의 ‘수혜자’였다. 심판(견제)을 위한 지지였다는 뜻이다. 총선은 ‘(정권) 심판’ 선거지만 대선은 ‘(미래) 비전’ 선거다.


영남이 야권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떠오른 것은 문 전 대표에게 유리하다. 그러나 더민주 내부 상황을 보면 그렇지 않다. 31년 만에 대구에서 당선된 김부겸 당선자 같은 대안도 나타났다.


결국 ‘문·안’ 모두 상대를 밀어내는 식이 아닌 자신의 정치로 가능성을 증명해야 하는 과제를 받아든 셈이다. 야권의 차기 대선이 기존과 차별화한 경쟁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두문정치전략연구소 서양호 소장은 “두 사람이 (4년 전처럼) 대권 주도권 경쟁에만 치중하면 다시 민심의 외면에 직면할 것”이라며 “서민들의 사회·경제적 요구를 대변하는 등 야당 체질 개선을 위한 경쟁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