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한국연구재단, 병원균 만나지 않고도 기억세포 미리 만드는 ..
지역

한국연구재단, 병원균 만나지 않고도 기억세포 미리 만드는 면역세포 발달과정 규명

이기종 기자 dair0411@gmail.com 입력 2020/09/01 15:25 수정 2020.09.01 15:56
새로운 면역 T세포의 발달과정을 규명한 포항공대 이유정 교수팀 등 국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8월 31일 됐다./ⓒ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포항공대 이유정 교수팀
새로운 면역 T세포의 발달과정을 규명한 포항공대 이유정 교수팀 등 국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8월 31일 게재됐다./ⓒ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포항공대 이유정 교수팀

[대전=뉴스프리존] 이기종 기자= 한국연구재단(NRF)은 포항공과대학교 이유정 교수팀, 김상욱 교수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김종경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세의료원이 공동으로 새로운 면역 T세포의 발달과정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바이러스나 세균, 곰팡이 등의 병원균과 암세포를 제거하는 데 필수적 역할을 담당하는 면역 T세포는 10여 종 이상의 다양한 아형(subtype)이 존재한다.

최근 밝혀진 선천성 T세포(innate T cell)는 병원균을 만나지 않은 발달단계부터 활성화된 형태로 만들어지며 전체 T세포의 20-30%를 차지하나 그 생성과정이나 역할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팀은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람의 MAIT 또는 감마델타 T세포가 생쥐의 자연살해 T세포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과정을 보면 사람과 생쥐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선천성 T 세포인 자연살해 T세포, 감마델타 T세포, MAIT세포의 발달과정에주목했다.

이어 단일세포 유전체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발달체계와 기능을 가질 것이라 생각했던 이들 세포가 사실은 각각의 전구체로부터 동일한 발달 경로를 공유하며 인터페론 감마, 인터류킨-4, 인터류킨-17 등 같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기능성 아형들로 분화하는 것을 알아냈다.

또 선천성 T세포의 아형 구성을 살펴보면 생쥐에는 자연살해 T세포가 많지만 사람에게는 MAIT 세포 또는 감마델타 T세포가 많다.

이 때문에 생쥐에서는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자연살해 T세포의 강력한 항암, 항바이러스 효능이 검증되었지만 자연살해 T세포가 매우 적은 사람에게는 동일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람에게 많은 MAIT 세포 또는 감마델타 T세포가 생쥐의 자연살해 T세포에 기능적으로 상응하는 세포라는 것이 확인됐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지원사업, 중견 연구지원사업,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자성기반라이프케어연구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됐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8월 31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