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프리존] 이기종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실리콘 및 질화규소를 이용해 양자 인터넷 구현에 필요한 광원소자와 광집적회로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양자 게이트(CNOT)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양자 인터넷은 광자의 양자 중첩, 양자 얽힘 과 같은 양자역학 현상을 활용해 양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새로운 인터넷 기술이다.
기존 인터넷보다 데이터 전송의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계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차세대 정보통신 인프라 기술로 손꼽힌다.
양자정보통신은 이온 포획(Ion Trap), 초전도체(Superconductor), 양자 광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온 포획, 초전도체 방식은 특성상 –272.9℃ 극저온, 즉 초고성능 냉장고에서 원활하게 작동한다.
또 자기장, 전류 등 외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험 환경을 갖추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번 연구진은 기술선점을 위해 양자 광학 방식을 택했고 이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덜 받아 상온에서 작동할 수 있고 작은 크기로 집적하기도 쉬워 상용화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번 성과는 국내에서 광집적회로 양자 게이트 기술을 처음으로 구현한 사례로 더욱 의미가 크다.
고전 정보는 0 혹은 1 중 확정된 상태를 지닌 비트(bit)를 OR, AND 등 논리 회로인 게이트를 활용해 연산을 수행한다.
반면 양자 정보는 0 혹은 1 상태가 확정되지 않은 큐비트(Quantum-bit)를 CNOT 등의 양자 게이트를 활용해 계산한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실리콘으로 축퇴사광파혼합 과정을 이용, 광자 쌍을 만드는 양자광원 소자를 개발했다.
양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빛의 최소 단위이자 큐비트 역할을 하는 빛 알갱이인 광자(光子)를 한 개씩 만들어 내는 ‘레이저 총’을 개발한 셈이다.
양자광원 소자는 얽힘 상태에 있는 광자 쌍을 1:700 비율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으로 지난해 11월 국제 학술지인 라이트 웨이브 테크놀로지 저널(Journal of Lightwave Technology)에도 게재되며 그 우수성을 알렸다.
아울러 ETRI는 광 전송손실 특성이 좋은 실리콘과 질화규소로 광도파로를 활용, 광집적회로를 만들었고 양자광원 소자에서 만들어 낸 단일 광자쌍을 이 회로에 입력하면 양자 간섭 현상을 통해 광자의 양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광집적회로를 활용하면 양자정보처리 연산 중 하나인 CNOT 양자 게이트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질화규소 광도파로를 활용한 광집적회로로 CNOT 양자 게이트를 구현한 것은 세계 최초 사례다.
연구진이 개발한 회로로 게이트를 작동한 결과 신뢰도는 최대 81%를 기록했고 올해 12월에 열리는 ECOC 2020 국제 학술대회에서도 발표될 예정이다.
ETRI 연구관계자는 “양자 광학 방식을 적용해 큐비트를 만드는 것은 온도 제한 외에도 규모를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현재는 4 큐비트에서 시현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 광집적회로 원천기술 연구과제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