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유병수기자] 2박4일 일정으로 시위대 야유 속에 이명박 전 대통령이 귀국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76)이 14일 다시 페이스북을 통해 바레인 방문 강연 내용 전문을 소개했다. 강연 내용이 공개되자 SNS에서는 이 전 대통령의 가훈이 재조명되고 있다. 바레인 방문에 동행했던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적폐청산에 대해 “정치 보복이라고 이야기하지 않았는가”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검찰의 군 사이버사령부·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수사가 이 전 대통령을 향하는 것과 관련해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에서도 문재인 정부를 향해불만을 표출했지만 막상 들어올 땐 침묵했는데, 정치권은 들썩였다. 이 전 대통령은 13일 바레인 정부 장관과 외교사절 등 고위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나의 스승은 가난과 어머니”라면서 “가난했기 때문에 열심히 일해야 했고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도 배고픔을 참고 공부를 해야 했다. 어머니는 어려서부터 저에게 ‘열심히 일해야 한다.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야 한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기회를 주실 것이다’ 늘 그렇게 말씀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재임시 나는 ‘경제대통령’으로 불렸다. 기업 경영자 출신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극복하고, 이제는 학술적 개념으로 자리 잡고 통용되는 ‘녹색성장’을 처음 주창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때 파이낸셜타임스는 ‘한국 경제가 침몰 위기에 처했다’고 보도했지만 2년 후인 2010년에는 다시 ‘한국은 위기를 통제하는 데 만점을 받았다’고 평가했다”며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는 “나 개인의 성공에 그치지 않고, 나의 재산을 가난한, 제가 어렸을 때 힘들었던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장학재단에 모두 출연했다”고 덧붙였다.
친이(친이명박)계 인사도 부글부글 끓고 있다. 친이 직계인 조해진 전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 “지금 현 대통령도 수많은 정책 사안에 대해서 참모들로부터 보고받고 지시하고 결정한다”면서 “그중 하나가 나중에 문제가 돼 사법적으로 법적 책임을 지게 된다고 할 때 협의하고 지시하고 했으니까 대통령도 다 공범이라고 하면 대통령이 일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또 “여론재판·인민재판으로 지금 검찰이 몰아가는 것 같은데 안 된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퇴임 이후에 온전하겠는가”라고 말했다.
다른 측근은 “우리도 5년간 집권했는데 (노무현 정부 관련) 자료가 왜 없겠나”라고 발끈했다. 이 전 대통령 측 일각에선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같은 분위기에 대해 “(이 전 대통령의 행보에) 청와대가 일일이 대응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적폐청산은) 개인을 목표에 두고 처벌하는 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라는 새 정부에 내려진 준엄한 명령”이라고 강조했다. 강연 전문이 공개되자 SNS와 온라인커뮤니티에는 이 전 대통령의 가훈이 재조명 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2007년 대통령 후보 등록 과정에서 자신의 프로필에 가훈을 ‘정직'이라고 밝혔다.
군 댓글공작 의혹으로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구속되는 등 수사망이 좁혀지자 검찰 자극을 피하려 한 것 아니냐는 관측 속에, 강한 메시지를 던진 만큼 여론 등의 반응을 보고 대처하려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를 두고 같은 해 이 전 대통령과 함께 대선 후보로 나온 이회장 후보는 “기가 막혀 헛웃음이 절로 나온다”며 비꼬았다. 당시에도 BBK 의혹으로 다스의 실소유주와 관한 논란이 일었던 바다.
이회창 후보 캠프 이혜연 대변인의 발언도 재조명 됐다. 그는 “놀랍게도 이명박 후보의 가훈은 정직이었다”면서 “현재 진행 중인 BBK 사건 수사 결과는 차치하고 지금까지 드러난 온갖 위장시리즈 땅투기 돈투기 등 각종 의혹, 끊임없이 반복되는 거짓과 변명을 바라보면 이명박 후보는 국가지도자로서의 자질에서 낙제점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편 생각해보면 그럴법하다는 생각도 든다”며 “이명박 후보가 정직하지 못했던 것에 대한 면죄부로, 아니면 앞으로 정직하지 못할 상황에 대한 방어기제로 정직을 가훈으로 삼았을지 모르겠다는 우스꽝스러운 생각마저 든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명박 후보는 분에 넘치는 욕망에 사로잡혀 자신과 주변을 욕되게 하지 말고 하늘아래 진실을 고백하고 참된 모습으로 국민 앞에 돌아오라”고 촉구한바 있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의 소환 조사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법적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측근은 “검찰이 사법적 근거 없이 권한 남용으로 전직 대통령을 오라 가라 하는 것 자체가 적폐”라며 “검찰에서 법 적용을 왜곡한다면 법적 대응으로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종찬·권재진 전 민정수석 등 이명박 정부 때 민정수석이나 법무부 장관을 지냈던 인사를 중심으로 조언을 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한편, 이명박 전 대통령은 15일 오전 귀국한다. 그는 지난 12일 출국에 앞서 “이것이 과연 개혁이냐, 감정풀이냐, 정치보복이냐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이후 SNS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혀온 이 전 대통령이 귀국 후 어떤 메시지를 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청와대는 적폐청산은 구조적 모순 해결이 목적이지 개인 처벌이 목표가 아니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