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국제 전력망 연계,광양만권에 ‘슈퍼그리드 터미널’ 구축..
지역

국제 전력망 연계,광양만권에 ‘슈퍼그리드 터미널’ 구축

이동구 선임 기자 입력 2018/05/05 09:31 수정 2018.05.05 09:42
전남도, 에너지밸리 등 인프라 활용…ESS 육성․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 핵심역할 나서
‘슈퍼그리드 터미널’ 구축 구상도  [사진=전남도]

[뉴스프리존,전남=이동구 선임기자] 전라남도는 나주 혁신도시에 조성 중인 빛가람에너지밸리 등 지역에 이미 갖춰진 에너지산업 인프라를 활용, 남․북 정상회담에서 경협사업으로 제기된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을 현실화하기 위한 핵심 역할에 나설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는 한국전력공사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허용해 에너지저장장치(ESS)산업을 육성하도록 ‘전기사업법’을 개정하고, 한‧중‧일 전력망의 교차점인 광양만권에 ‘슈퍼그리드 터미널’을 구축하며, 빛가람에너지밸리에 에너지기업 중심 국가산업단지를 개발할 것을 정부와 정치권에 건의키로 했다.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 구상은 러시아와 중국, 몽골, 한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국가 간 전력망을 연계하는 사업이다. 슈퍼그리드는 단일 국가의 경계를 넘어 다수 국가 간 전력망을 연결하는 국제 전력망이다. 지난해 제19대 대통령선거 때 전라남도가 지역공약으로 발굴, 각 정당 후보자에게 건의한 사업이다.

몽골‧중국의 풍부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한‧중‧일 전력망과 연계해 공동 활용하는 가로축과, 러시아 극동지역의 수력, 천연가스(LNG) 등 청정에너지를 활용하는 세로축,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된다. 몽골 고비사막의 재생에너지 활용 잠재량은 풍력이 연간 1천110Twh, 태양광이 1천500Twh로 추정되며, 러시아 극동지방의 수력은 연간 1천139Twh로 추정돼 이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추정치는 한국의 2016년 전력 총 생산량(526Twh)의 7배에 달한다. 이 때문에 이미 몽골‧중국‧러시아는 양자 간 전력거래 등 에너지 연계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 한전도 지난 2016년 중국 국가전망공사, 일본 소프트뱅크, 러시아 로세티와 MOU를 체결했으며, 지난해 12월 한-중 정상회담 기간 중 중국 국가전망공사가 설립한 글로벌 에너지 연계 개발 협력기구(GEIDCO) 등과 ‘전력계통 연계 사업개발 MOA(합의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을 통해 생산된 전기는 육상선로와 해저케이블을 이용해 고압직류송전방식(HVDC)으로 한‧중‧일 3국에 송전하게 된다.

전라남도는 온실가스 감축을 의무화하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으로 각 나라별로 청정에너지자원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름에 따라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이 현실화할 것으로 판단, 이 구상의 성패를 가늠할 전기 배송시스템과 ESS 시스템 기반 구축에 온힘을 쏟을 계획이다.

특히 광주시, 한전과 함께 오는 2020년까지 에너지‧SW융합기업 500개사 유치를 목포로 조성하고 있는 ‘빛가람에너지밸리’가 이 구상의 중추적 역할을 하도록 힘쓴다는 방침이다. 에너지밸리에는 4월 말 현재까지 ESS, 지능형계량기(AMI), 저압직류배전(LVDC),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 310곳이 투자의향을 밝혔고, 이 가운데 186곳이 투자를 실현해 입주해 있다. 9월에는 에너지신기술실증센터가 착공되고, 에너지밸리기업개발원도 9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주순선 전라남도 정책기획관은 “전남은 이미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 성공을 위한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며 “후속조치로 ESS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전기사업법’ 개정, 광양만권에 ‘슈퍼그리드 터미널’을 구축, 에너지밸리에 국가산업단지가 개발 등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