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이규진] 지난 6.13지방선거에서 대구 경북에서만 광역단체장이 당선되어 그야말로 ‘참패’한 자유한국당이 보름이 다 되도록 선거 패배의 수습은 커녕 당내 계파싸움으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다.
지방선거 참패 후 당 소속 의원들이 국회 로텐더홀에서 단체로 무릎을 꿇고 ‘저희가 잘못했습니다’라고 쓰인 현수막을 걸고 대국민 사과를 했던 그 모습은 26일 현재, 막말과 고성 그리고 지도부 대행에 대한 사퇴 요구 등으로 참패 후폭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지난 18일, 한국당의 김성태 대표권한대행이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중앙당 해체와 당명 개정 등의 혁신안을 들고 나왔으나 오히려 당내 반발을 부르고 비대위 준비위에 대해서는 아예 인정치 않겠다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다.
김 원내대표의 '혁신안'을 보면 △ 중앙당 해체 △ 당명 개정 △ 원내중심 정당 구축 △ 구태청산 태스크포스(TF) 가동 △ 외부인사를 위원장으로 혁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 당의 자산 매각 및 구태청산 태스크포스(TF가동) 등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김 원내대표의 혁신안은 친박과 중진들의 당내 반발을 불러왔는데, 이는 주도권 다툼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혁신안이 김 원내대표가 주도하려는 것에 대한 것과 그 과정에서 이른바 '친박 중진들'의 입지가 좁아지거나 청산대상으로 몰리게 되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가 '친박들의 반발'을 불러왔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다시 말해 혁신안을 주도한 김 원내대표와 그 측근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갖기 위한 것이라는 불신이 팽배하고 이번 당권경쟁의 승리자가 21대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하게 돼 있기에 그에 따른 헤게모니 쟁탈전이 시작된 것으로 관측된다.
결국 한국당이 개혁을 하지 않으면 살아날 수 없는데도 그 개혁의 주도권을 놓고 당내 계파들이 싸움을 하는 상황인 것이다.
이런 불신은 ‘친박의 목을 치겠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박성중 초선 의원의 메모가 언론에 공개되면서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박 의원은 “의도치 않았는데 오해받고 있다”면서 억울해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이 메모 파동은 한국당 내 계파간 불신을 더욱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것으로 작동하는 모습이다.
메모를 보면 '현안회의(6월 19일)'이라는 제목 밑으로 8개의 항목이 나열돼 있는데 이중 "7. 친박 핵심 모인다 -> 서청원, 이장우, 김진태 등등 박명재, 정종섭 8. 세력화가 필요하다 -> 적으로 본다/목을 친다"란 두 구절 즉 8항의 의미가 7항에서 거론한 의원들의 목을 치겠다는 뜻으로 풀이되는 소지를 안고 있다.박 의원은 “주어가 잘못됐다”면서 “비박계가 아닌 친박계가 주어”라고 해명했다.
일부 의원들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찬성 표결한 의원들을 인적 청산의 대상으로 거론한 것은 친박계가 비박계의 목을 칠 의도가 깔린 것이고, 이를 대비하자고 누군가 주장하기에 그 말을 받아 적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박 의원의 해명은 지난 21일, ‘막장 총회’로 기록될 의원총회에서 박 의원이 동료 의원들에게 해명한 내용이기도 하다.
그러나 친박계 의원들은 곧이곧대로 듣지 않는 분위기로 박 의원이 고의로 공개했다는 의혹을 떨치지 못하는 모습이다.한 친박계 의원은 "메모 사건은 의도적으로 공개했다고 보는 시각이 대체적"이라고 풍이하면서 "지방선거 이후 복당파 VS 비복당파의 구도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럴 경우 복당파가 소수가 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친박의 유물을 꺼내서 친박 VS 비박의 구도를 만들려는 의도"라고 분석하기도 했다.다시 말해 박 의원 등 박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옛 새누리당에서 탈당해 바른정당을 창당했다가 지난 대선을 전후해 한국당에 입당한 이른바 '복당파'들이 당권을 쥐기 위해 비복당파에 대한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있지도 않은 '친박 VS 비박' 구도를 다시 꺼내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박 전 대통령의 출당 조치, '좌장' 최경환(4선) 의원의 구속, 서청원 의원의 탈당 등으로 구심점을 상실한 친박계가 이미 사분오열돼 쪽수가 얼마 남지 않았고, '폐족'의 의미를 담고 있는 친박이라는 딱지로 매도하기에 쉬운 소재라는 분석이 되기도 한다. 박 의원은 포함한 복당파 의원 약 20명과 메모가 공개된 초선 회의에 앞서 오전 김무성 의원, 김성태 원내대표 등과 회동을 가졌는데, 오전 회동에서 주장한 것을 받아 적은 것을 초선 회의에서 꺼내보다가 기자에게 휴대전화 메모를 촬영 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친박계는 의도적인 '친박' 굴레 덧씌우기라는 분석 하에 서청원(8선) 의원의 탈당을 명분 삼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김무성 의원도 탈당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더 이상 친박이 없는데 비박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계파싸움을 조장했다며 김성태 원내대표 역시 사퇴할 것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친박계 김진태(재선) 의원은 입장문을 통해 "가만있는 내 목을 친다고 한 사람이 누구이냐. 탈당파(복당파) 모임에서 그 말을 한 사람이 누군지 밝히라"면서 "김성태 원내대표는 있지도 않은 친박에 기대 연명할 생각 말고 쿨(cool)하게 사퇴하라"고 주장했다.이런 반발들에 김 원내대표도 김 의원이 입장문을 내기에 앞서 "친박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며 전날 추인 받지 못한 '원내정당화' 등 혁신안과 비대위원장 선임을 강행할 뜻을 내비쳤다. 박 의원의 메모 공개가 고의적인 여부는 박 의원 자신만 아는 문제가 됐지만, 결과적으로 한국당의 상황은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분당(分黨) 사태로 치달았던 때와 필적한 수준의 극심한 계파 갈등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당의 내홍은 주말을 지나면서 수습 국면 가능성도 나왔지만 25일, 6명의 중진의원이 김성태 원내대표의 선거 참패와 계파 갈등의 책임을 부각시키며 사퇴까지 촉구하고 나서면서 당내 갈등 양상은 깊어지는 모양새이다. 친박계 정우택.홍문종.유기준.이주영 의원과 비박계 심재철 국회 부의장은 입장문을 통해 "김 대행의 사퇴는 폭망한 공동선대위원장이 국민에 대해 느껴야 할 최소한의 염치"라며 "당 대표가 없는 마당에 원내대표도 없으면 당의 중심이 없어지는 것이므로 자리를 지켜야겠다는 변명은 구차한 욕심"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가 대책이랍시고 제시한 중앙당 해체 등은 문제의 본질과 전혀 동떨어진 것이었다"며 "패배의 원인을 제대로 진단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따져도 모자랄 정도로 폭망한 판에 선거패배의 대책이랍시고 원내정당을 들고 나온 것은 심각한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 준비위원회를 구성한 것도 물러나야 할 사람이 벌인 무책임하고 월권적인 행동에 불과하다"며 "준비위는 즉각 해체돼야한다"고 촉구했다.
전날 한국당 혁신 비대위 준비위원장에 3선 안상수 의원이 인선됐다.나경원 의원도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 대행이 일방적으로 당 해체 쇄신안을 발표하고, 비대위 구성 결정 등을 한 데 대한 신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나 의원은 김 대행을 겨냥해 "본인의 거취에 대한 신임을 묻는 것을 시작으로 당내 토론부터 치열하게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야 한다"며 "더 이상 독단적, 편향적 결정으로 시빗거리를 만들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라도 의원총회 및 중진의원 회의 등 최대한 다양한 채널을 통한 당내 의견수렴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대행은 조기 전당대회 반대 및 비대위 구성 결정, 당 해체 쇄신안 발표, 비대위 준비위 구성 등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며 "지금의 수습과정은 원인진단부터 해법까지 모두 잘못됐을 뿐 아니라 시간만 끌고 있는 형국"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친박 김진태 의원은 입장문을 내고 "느닷없이 친박-비박 구도로 계파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며 "선거참패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있지도 않은 친박을 만들어 당을 분열시키고 있다. 김 대행은 철 지난 친박 타령 그만두고 하루빨리 물러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초.재선 의원들은 회동을 갖고 '사퇴 압박'을 받던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원내대표직을 수행하는 것은 수용하기로 했다.
다만, 조속한 시일 내에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김 원내대표는 비대위에서 빠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을 내 향후 위원회 구성을 놓고 계파간 힘겨루기가 재연될 수도 있다.
재선의 박덕흠 의원은 이날 모임 뒤 브리핑을 통해 "김 원내대표가 유임을 하면 좋겠다는 의견이 다수였다"면서 "원 구성 문제 등이 복잡하게 꼬여 있어서 김 원내대표의 사퇴는 적절하지 않다는 말이 많았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이들 의원들은 당이 가능한 빨리 비대위 체제로 전환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비대위원장 인선을 위한 준비위원회가 다음날 1차 회의를 열어 위원장 선임을 위한 논의에 들어가기로 한 만큼 한국당이 조속한 시일 내에 비대위 체제를 출범시킬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이날 모임에 참석한 상당수 의원들이 김 원내대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당연직 비대위원인 김 원내대표는 여기서 빠져야 한다고 주장해 향후 비대위원 구성을 놓고 갈등이 불거질 여지를 남겼다.
결국 초.재선 의원들도 김 원내대표의 비대위 참여를 원천적으로 반대한다는 의견이어서 김 원내대표를 비롯한 그룹의 반발은 충분히 예상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16년 4.13 총선 패배에 이어 2017년 5.9대선의 패배에 이은 2018년 6.13 지방선거의 참패를 당한 한국당의 이런 모습은 국민들에게 좋은 모습으로 비춰질 수 없다.
연속 선거에서 3연패를 당한 한국당은 분열과 갈등, 이전투구, 무기력증, 난장판으로 얼룩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성과 반성은 물론, 회개.혁신은 커녕 내분과 자중지란으로 날을 새고 있는 것이다. 막말과 고성, 불신으로 점철되고 있는 한국당이 살 길은 처절할 정도의 혁신적인 개혁의 몸부림이 필요하다.
왜 참패했는지, 왜 외면당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참회가 먼저이고 합리적 대안 정당을 모색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남은 밥그릇이라도 먼저 차지하겠다는 자중지란은 결국 자멸의 길로 걷게 되는 한 길이 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