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임병용 선임기자] 6·13 지방선거 이후 정당 지형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방선거 압승으로 질주하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민생 악화’로 급격한 내림세를 보인 반면 ‘진보’ 프리미엄을 이어받은 정의당이 처음으로 두 자릿수 지지율을 얻었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25∼27일 전국 성인 남녀 1501명을 조사해 28일 발표한 정당지지율(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 표본오차)에 따르면 정의당 지지율은 5주 연속 상승한 10.1%로 집계됐다.
2012년 10월 창당 이래 최고 수치이다.
정의당 측은 “남북 평화 문제는 문재인 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등의 노동 현안은 정부·여당과 각을 세우면서 지지층이 넓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정의당의 약진은 민주당 지지율 하락에 따른 반사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주 54.1%였던 민주당 지지율은 1주일 새 6.3%포인트 하락하며 50% 아래(47.8%)로 추락했다.
리얼미터는 “위장평화론을 앞세웠던 자유한국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줄고, 민생·경제 등에 대한 ‘여당 책임론’이 본격화된 것이 이유”라고 분석했다.
이 결과 민주당에서 이탈한 일부 지지층이 정의당으로 집결해 수도권과 부산·경남(PK), 20대, 진보·중도층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상승세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정의당 지지율이 급상승하면서 제1 야당인 한국당과의 격차는 8.2%포인트 차로 좁혀졌고 ‘113 대 6’ 이라는 두 당의 국회 의석수 격차를 감안하면 지방선거 이후에도 보수정당에 대한 심판은 계속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