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국회= 채수곤 기자] 지난 26일 이개호 의원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임명을 시작으로 청와대가 2기 내각 구성이 본격화 된 가운데 야당과의 협치내각을 공식화한 청와대의 다음 인선에 정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당초 문재인 대통령은 출범 당시 야권 인사 입각 가능성과 관련해서 "민주당 정부인 만큼 민주당 인사로 내각을 채우는 게 책임정치"라는 입장을 거듭 밝혀온 만큼 협치내각 구성은 문 대통령의 소신과 배치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민생 법안 등 긴박한 과제가 산적해 있고 인사청문회 정국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협치내각을 구성할 수 밖에 없다는 게 청와대의 현실적인 고민으로 보인다.
청와대 측은 대외적으로 자유한국당을 포함 보수진영을 입각 대상에서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인 가운데,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문 대통령은 청와대 참모진과 여당 지도부에 협치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주길 당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여권 핵심 인사들이 협치내각 구성을 위해 민주평화당과 정의당 등 야당 의원들과 만나 협치내각 참여를 타진해 왔다는 설명이다.
청와대가 물밑에서 진행되던 협치내각 구상을 공식화 한 것을 두고 일각에선 협치내각 참여 조건으로 내건 야당의 요구가 과도하다고 판단, “더 기다리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냈다는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실제 법무부, 산업통상중소벤처기업부, 교육부, 환경부, 국방부, 고용노동부 등의 수장에 몇몇 여당 인사가 비공식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도 야당의 빠른 결단을 촉구한 것이 아니냐는 것.
2기 내각 첫 인선으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이개호 의원을 임명한 것을 시작으로 3~6개 수준의 중폭 개각이 예상 되는 가운데 ‘정치쇼’, ‘신중검토’, ‘수용불가’ 등 저마다 입장차를 달리하고 있는 야당의 행보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