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임병용 선임기자] 남북이 13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고위급회담을 갖는다.
우리나라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안문현 국무총리실 심의관 등 4명이 대표로 나선다.
북측은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단장으로 박용일 조평통 부위원장, 김윤혁 철도성 부상과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대표단을 꾸렸다.
두 달여 만에 열리는 이번 회담의 의제는 '4·27 판문점 선언 이행상황 점검'과 '3차 정상회담 개최 준비' 등 크게 두 가진다.
대표단 명단만 놓고 보면 남측은 남관표 안보실 2차장을 처음으로 포함하는 등 '정상회담 준비'에 대한 협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북측은 철도성과 도로를 책임지는 국토환경보호성의 부상이 대표단에 포함돼 판문점 선언 이행, 특히 북한 철도·도로 현대화 등 경제협력에 집중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처럼 남북이 방점을 두는 의제에 차이가 나면서 일각에선 회담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상회담 관련 사항은 국가정보원과 북측 통일전선부 간 물밑접촉에서 이미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됐을 가능성도 있는데, 고위급회담은 이견 조율이 아닌 최종적으로 확정해 발표하는 자리의 성격이 강하다는 의미이다.
이와 관련, 정상회담 시기는 이달 말에서 9월 초가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판문점 선언'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가을 평양 방문'이 적시돼 있지만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남북정상회담 시기를 당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