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조경환_공간 콘텐츠 프로듀서] 강화도 교동면 대륭시장은 6.24 때 연백군에서 교동도로 잠시 피난 온 주민들이 한강 하구가 분단선이 되어 고향에 돌아갈 수 없게 되자 실향인 그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향에 있는 ‘연백시장’을 본 따서 만든 것이 이 골목시장이다. 대룡시장은 50여년간 교동도 경제 발전의 중심지였으며 지금은 실향민 대부분의 사망을 하여 인구가 급격히 줄고 재래시장 규모도 작아 들었다.
이곳 교동도는 교통대교의 개통전에는 이곳 섬주민들은 배를 타고 석모도를 거쳐 강화도로 가야하는 외진 섬이었다. 고려시대에는 벽란도로 가는 중국 사신들이 머물던 국제교역의 중간 기착지 였으며, 조선 인조 때는 삼도수군통어영을 설치하여 경기, 충청, 황해도까지 전함을 배치하는 해상 전략의 요충지였다.
그러나 2014년 7월 교동대교의 개통과 함께 1970년 경의 분위기가 풍겨서 영화 세트장과 같은 대륭시장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찾아오면서 이 시장이 알려지면서 강화도의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 재래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시장 골목마다 '제비거리', '둥지거리', '와글와글거리', '조롱박거리', '극장거리' 그리고, ‘벽화거리’ 등 뒷골목 거리를 구분해서 표시하였다. 과거 KBS '1박 2일' 프로그램에서도 이곳 시장을 방영을 하면서 유명세를 탔다.
강화도 교동면 대륭시장은 6.24 때 연백군에서 교동도로 잠시 피난 온 주민들이 한강 하구가 분단선이 되어 고향에 돌아갈 수 없게 되자 실향인 그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향에 있는 ‘연백시장’을 본 따서 만든 것이 이 골목시장이다. 대룡시장은 50여년간 교동도 경제 발전의 중심지였으며 지금은 실향민 대부분의 사망을 하여 인구가 급격히 줄고 재래시장 규모도 작아 들었다.
이곳 교동도는 교통대교의 개통전에는 이곳 섬주민들은 배를 타고 석모도를 거쳐 강화도로 가야하는 외진 섬이었다. 고려시대에는 벽란도로 가는 중국 사신들이 머물던 국제교역의 중간 기착지 였으며, 조선 인조 때는 삼도수군통어영을 설치하여 경기, 충청, 황해도까지 전함을 배치하는 해상 전략의 요충지였다.
그러나 2014년 7월 교동대교의 개통과 함께 1970년 경의 분위기가 풍겨서 영화 세트장과 같은 대륭시장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찾아오면서 이 시장이 알려지면서 강화도의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 재래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시장 골목마다 '제비거리', '둥지거리', '와글와글거리', '조롱박거리', '극장거리' 그리고, ‘벽화거리’ 등 뒷골목 거리를 구분해서 표시하였다. 과거 KBS '1박 2일' 프로그램에서도 이곳 시장을 방영을 하면서 유명세를 탔다. 주말이면 많은 외지인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시장 골목을 걷다보면 ‘황세환 시계방’이 있다. 시장 상인회가 지정한 ‘대룡시장 명장’이라는 명패가 붙여진 시계방을 볼 수 있다. 현재 '황세환' 명장(名匠)은 자리에 없고 생전에 그의 모습을 재현한 밀랍인형이 있다. 명인을이렇게 밀랍인형으로 재현한 것은 아주 특이한 케이스라고 생각한다.
이곳 시장에서 삶의 터전을 잡고 살아간 이들을 이야기의 원천으로 삼으면서 스토레텔링을 만들어가고 있는 상인들이다. 대룡시장이 그런 의미에서 보면 일반 재래시장하고는 다른 이야기가 있다. 속초의 '아바이마을'과 같이 주제는 고향을 떠난 '실향민'이다. 이렇게 재래시장의 이야기를 문화콘텐츠로 만들고 스토리텔링으로 이어간 것이다. 바로 지역의 이야기를 재래시장에서 물건과 함께 같이 파는 것이다.
실향민들의 이야기를 파는 곳이 북한과 가까운 강원도 속초에도 있다. 바로 속초중앙시장 뒷쪽에위치한 ‘아바이마을’이다. '아바이마을'은 함경도 방언으로 '아저씨'를 뜻한다는 '아바이'라는 방언을 붙여 이곳 마을이름을 지었다.
예전에는 조용하고 쓸쓸한 실향민들의 집단촌에 불과했지만 1990년대 말에 들어 속초를 찾는 방문객들로 부터 입소문을 통해 새로운 명소로 알려져 이 지역을 방문하는 이들이 늘었다. KBS 드라마 '가을동화' 예능프로인 '1박 2일' 도 이곳에서 촬영되어 방영되면서 더 유명한 지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예로부터 '갯배'라는 거룻배를 통해 속초중앙시장에서 외딴 작은 섬인 이곳 '아바이마을'로 이동하였는데 '갯배'는 여러 사람들이 배에 있는 쇠고리로 끌어당겨 움직이는 직사각형 모양의 거룻배이다. 이곳 식당들은 이곳 실향민들이 함경도 출신들이 많기 때문에 함흥냉면과 함께 '아바이순대'라는 북한식 '오징어순대'가 있다. 실향민들이 사는 '집단촌'이라는 지역 정체성을 통해 '오징어순대'라는 함경도 향토음식, 거룻배 '갯배'라는 것을 통해 그 이야기를 팔고 있는 것이다.
이 곳 ‘대륭시장’이 있는 교동도는 민간인 출입 통제선으로 교동대교 검문소에서 해병 제2사단 출입증이 있어야 들어갈 수 있다. 강화도 인구는 계속 줄어들어 68,674명(2018년 3월 현재) 이며, 그 중 교동면은 2,980명이며 남자 1,524명, 여자 1,577명 세대당 인구는 2.03명이다.
교동도는 우리나라에서 14번째 크기의 섬이다. 그러나 현재 3 천여 명이 살고 있을 정도로 섬 크기에 비해 인구는 적은 편이다. 따라서 과거에 비해 큰 재래시장의 규모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대룡시장’도 원주민인 실향민 상인은도 점점 줄어들고 있고 외지에서 온 상인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시장이 실향민들의 추억이 어린 이색 공간으로 알려지면서 주말에 많은 방문객들이 몰려들었다. 그러나 이곳 재래시장의 빈 공간을 메우는 것은 기존 시장의 이미지 모습이 아니라, 방문객들이 선호하는 것들로 콘텐츠를 메우고 있다. 또한 재래시장에서는 보기 어려운 '토탈공방'(工房)들이 자리하고 있다.
강화평화전망대에서 북한과 2.3km 떨어진 곳에 있을 만큼 가깝다. 전망대로로 들어가는 해안도로에서는 북한과의 거리는 1.8km애 불과하다. 그리고 개풍군에 있는 개성공단과의 거리는18km로 아주 가까운 곳이다. 대륭시장이 위치한 교동도는 황해도와 인천광역시 경계해안 위치해 있다.
그러한 만큼 6.25 전쟁 때 고향을 떠난 실향민들이 돌아가지 못하고 이곳에서 생의 터전을 잡으면서 생계수단으로 시장에서 물건을 팔면서 고향에 돌아갈 날만 기다렸다는 이야기 등 구구절절한 사연들이 깊은 곳이다. 교동면의 ‘대륭시장’은 그런 이야기가 아직도 시장 곳곳에 숨어있는 서민들의 공간이다.
※ ‘대룡시장’ 곳곳에 있는 ‘교동제비’의 스토리텔링
교동도 ‘대룡시장’은 제비가 찾아 오는 청정지역이다. 귀제비, 제비, 갈색제비가 매년 3~ 10월 달에 다시 찾아온다. 그 중에 ‘대룡시장’에는 귀제비와 제비가 가장 많이 찾아온다. 제비의 천적은 맹금류로 독수리, 매, 부엉이, 올빼미가 있으며 기타 까마귀, 뱀, 족제비, 참새, 고양이 등이 있다. 제비는 3~ 4월이 번식기로 이동하여 2번 번식한다. 집을 짓고 수리하는 형태로 6~7월 번식 뒤 9얼~10월 둥지로 떠난다. 제비가 전기 줄에 앉아 있는 이유는 바로 앞에 말한 천적들 때문이다. '대룡시장' 제비는 이러한 고향 회귀 본능을 상징으로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