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국회= 김선영 기자] 2016년 경주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건축물 내진 설계에 대한 관심은 증가했지만, 여전히 지진 피해에 무방비로 놓인 건물이 대다수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서울시내 단독주택의 내진 설계 비율이 4%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서울시내 총 건축물 61만 6,579동 중 내진설계가 반영된 건물은 9만 4,520동(15.3%)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물 용도별로 보면, 공동주택, 단독주택 등 주거용 건물의 경우 전체 45만 8,327동 중 6만 7,411동, 즉 14.7%에만 내진이 확보돼 있었고, 근린생활시설, 종교시설, 의료시설 등 비주거용 건물의 경우에도 전체 15만 8,252동 중 내진 설계가 반영된 건물은 2만 7,109동으로 내진 확보 비율이 17.1%에 불과했다.
내진 설계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단독주택으로 전체 건물 32만 6,364동 중 내진 확보 건물은 1만 4,594동으로 그 비율이 4.5%에 그쳤다.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등 제1종 근린생활시설(6만 3,693동)의 내진 확보율(3,558동)도 5.6%로 단독주택 다음으로 내진 설계 비율이 낮았다.
이날 송석준 의원은 "서울시내 건물의 70%가 노후화돼있는데, 내진확보 비율 또한 15%에 불과한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민간 건축물에 대해서도 정기 점검이나 보수‧보강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