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청와대 ‘52시간제 개선’보완책 모색..
정치

청와대 ‘52시간제 개선’보완책 모색

임병용 선임 기자 입력 2018/10/24 08:46 수정 2018.10.24 08:50
▲사진: 연합뉴스

[뉴스프리존= 임병용 선임기자] 청와대와 정부가 근로시간 단축 제도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다음 달 탄력근로제 확대를 포함한 개선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어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민경제자문회의의 브리핑에서 “지난 7월 근로시간 단축 제도가 시행된 이후 산업현장에서 제기되는 여러 우려에 대해 논의했다.”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연착륙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데 모두 공감했다”고 말했다.

이어 “연착륙 방안은 기업뿐 아니라 노동자 입장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며 “예를 들어 기업 측면에서는 근로시간 활용의 유연성을 높이고, 노동자 측면에서는 건강권을 보호하는 식으로 연착륙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는 대통령에게 경제정책 방향을 조언하는 기구로 문재인 대통령이 의장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근로시간 단축 관련 산업현장 실태조사를 한 뒤 다음 달 초·중순 그 결과를 발표하고 이후 근로시간 단축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김광두 부의장은 “개선 방안 중 하나로 탄력근로제 적용 기간을 확대하는 방안에 참석자들이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확대할지는 실태조사 결과를 본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탄력근로제는 업무가 많을 땐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해 근무하는 대신 업무가 적을 때 근무시간을 줄여 특정 기간의 평균 근로시간을 주 52시간으로 맞추는 제도이다.

현재 탄력근로제 적용 기간은 최대 3개월로 제한을 두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