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임병용 선임기자] 지난 24일 KT의 150m짜리 지하 통신관로 큰 불로 유·무선 전화가 불통되고, 카드 결제와 인터넷 서비스에 큰 장애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피해 지역 내 병원은 물론 경찰청, 국방부의 일부 통신망까지 마비됐는데요.불편을 겪은 시민, 자영업자, 기업 고객은 ‘통신대란’ ‘통신재난’ 수준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화재 발생으로 ‘정보기술(IT) 강국’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공교롭게도, 다음 달 초 5세대(5G) 이동통신 ‘세계 첫 상용화’ 선언을 앞두고 일어난 사고이다. 서울 충정로 KT 아현지사 지하 통신관로에서 발생한 이번 화재는 KT 아현지사가 관할하는 서울 중구 용산구 서대문구 마포구 일대와 은평구, 경기 고양시 일부 지역에 적잖은 피해를 입혔다.
가장 큰 문제는 정부와 KT의 부실한 국가 기간통신망 운용과 관립니다. KT에 따르면 전국 지사 56곳 중 아현지사와 같이 이중 백업시스템이 없어 화재로 대규모 통신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지사가 27곳에 이른다는 것이다.
정부와 KT는 초 연결 사회와 4차 산업혁명 시대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면서도 ‘플랜B’를 준비하지 않은 것인것. 이런 ‘사실’은 정부와 KT가 내놓은 사고 대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KT는 25일 “통신망이 마비됐을 때 다른 통신사 망을 사용하는 것을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승엽 도시재난연구소 소장은 “모든 게 연결된 초 연결사회에서는 한 분야에서 발생한 사고가 다른 분야로 전파돼 마치 도미노처럼 막대한 피해를 낳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