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모레 늦은 밤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후 한미일 3국 정상회의, 한일 정상회담, 한중 정상회담이 이어지며, 북한의 4차 핵실험부터 유엔과 한·미·일의 대북 제재까지 진행된 동북아 지역 안보 상황이 주요 의제이다.
[뉴스프리존= 장정민기자] 박 대통령은 대북 제재에 확실하게 공조할 것을 재확인하면서 북한이 또다시 핵실험 등 도발에 나설 경우의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금요일 새벽에 열릴 한중 정상회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가 전제되어야만 한반도 평화협정 논의가 가능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반발 속에 우리가 사드 배치를 고려하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할 예정이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1일 정상회담이 특히 중요하다. 앞서 백악관은 이 회담이 “이견이 있는 영역을 건설적으로 해소하며 상호 이익과 관련된 광범위한 이슈에서 협조를 증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토머스 컨트리맨 미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는 28일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핵안보정상회의와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중심적 논의 사항은 아니다”라면서도 “북한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을 것이다. 동아시아 안보에 가장 생생하고 도발적인 위협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리바오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도 “양쪽은 조선(한)반도 문제도 거론할 것”이라며 “중국은 비핵화에 힘을 쏟아야 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일관된 방침을 갖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비핵화-평화협정 병행 논의’ 추진 방안을 포함해 북한의 4차 핵실험 뒤 한껏 높아진 한반도 긴장 고조 국면의 해소를 위한 ‘출구 전략’ 마련에 미·중 정상이 얼마나 호흡을 맞출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번 핵안보정상회의에 불참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31일 오바마 대통령, 시진핑 주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연쇄 양자 회담을 한다. 박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과 “안보리 결의 2270호와 독자제재 공조 방안”을, 아베 총리와 “북핵 문제 대응을 위한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전했다. 반면 박 대통령은 시 주석과 회담에서는 “북핵 문제 관련 양국 간 소통 강화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할 것이라고 김 수석은 덧붙였다. 미·일 정상과는 ‘대북 제재 강화’, 중국 정상과는 ‘대북 대응 이견 절충’에 힘을 쏟으리라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31일 오바마 대통령이 주최하는 한·미·일 3국 정상회의에도 나선다. 김 수석은 “이번 3국 회의는 2014년 헤이그 이래 2년 만으로,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과 독자 대북제재,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을 견인해 가려는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일 정부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관련 12·28 합의 이후 처음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의와 한·일 정상회담에서 12·28 합의 관련 논의가 얼마나 이뤄질지도 주목 대상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4차 핵실험 다음날인 1월7일 박 대통령과 전화 통화에서 12·28 합의를 “정의로운 결과”라고 추켜세우며 “북한 핵실험이라는 공동의 도전에 대한 한·미·일의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다만, 한·일 정부는 ‘12·28 합의’를 두고 양국 사이는 물론 각국 내부적으로도 논란이 끊이지 않는 현실을 고려해 3자 및 양자 정상회담에서 ‘필요한 최소한’으로 관련 논의를 자제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