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대우조선해양
[뉴스프리존=유승열 기자] 정부와 채권단이 유동성 위기에 몰린 대우조선해양에 채무 재조정을 전제로 2조 9천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2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구체적 방안을 보면, 먼저 회사의 위험 요인을 최대한 해소하기 위해 강도높은 채무조정이 추진된다. 시중 은행 등이 보유한 3조 8천억 원 규모의 회사채, 기업어음 등은 출자전환하거나 만기 연장해주는 방안이다. 정부는 시중은행과 사채권자 등이 자율적으로 강도 높은 채무 조정에 합의하도록 추진하되, 이 합의가 무산될 경우, 일종의 법정관리인 ‘사전회생계획제도(P-Plan)’를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조선해양이 도산하면, 1,300여개 협력업체 연쇄 도산이 우려되고, 약 5만 명 이상이 일자리를 잃는 등 국가 경제 전반에 막대한 손실이 우려돼 추가 지원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 2015년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의 지원을 결정하면서, “추가 신규 지원은 없다”고 밝힌 바 있던 정부가 입장을 바꿔 또 예산을 지원한다는 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 ‘경영 정상화 관리위원회’도 구성, 매년 회계법인 실사를 실시해 경영정상화 진행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회사는 현재 추진 중인 자구 계획을 신속하고 강도높게 추진해야 한다. 경쟁력 있는 상선, 특수선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해양플랜트는 사실상 정리하는 등 사업 재편이 가속화하고, 또 옥포. 올림단지 등 자산매각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2018년말까지 자회사 대부분을 조기 매각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노사는 자구이행에 협조하면서 올해 모든 임직원의 임금을 반납하고, 만 명 수준으로 줄어든 직영인력은 내년 상반기까지 9천 명 이하로 추가 축소한다.
그러나 정부는 이런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오는 2021년엔 대우조선해양의 부채 비율이 250% 수준으로 떨어져 건실한 재무구조를 갖추게 되고, 그동안 부실을 초래한 저가 수주 선박은 2018년까지 대거 인도해 경영 불확실성이 제거될 것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채무조정 합의가 무산되면, 정부는 법원의 ‘사전회생계획제도(P-Plan)’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전회생계획제도’는 일종의 법정관리로, 법원이 기존 빚을 신속하게 줄여준 뒤 채권단이 준비한 신규 자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에도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은 정상적인 기업 운영에 필요한 신규 자금을 분담해 지원할 방침이다.
유승열 기자, mataharid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