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프리존

인사비리에 대한 첫 내각부터 삐걱..
정치

인사비리에 대한 첫 내각부터 삐걱

유병수 기자 입력 2017/05/26 15:30
[뉴스프리존= 유병수기자]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병역면탈, 부동산투기, 위장전입, 탈세, 논문표절 등 "고위 공직자 인사에서 이런 5대 비리 내정하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에 이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까지 위장전입 의혹이 불거지며 5대 비리 관련자의 공직 배제 원칙이 무너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연구 결과를 마치 내 것인양 몰래 베끼는 논문 표절, 바로 사회 지도층 인사들 본인이나 아들의 병역을 회피하는 병역 면탈,  실제 거주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돈을 벌 목적으로 부동산을 사고 파는 부동산 투기, 정당하게 내야 할 세금을 내지 않는 세금 탈루, 자녀의 학교 진학 등을 위해 살지도 않는 곳에 산다고 거짓 신고하는 위장 전입등 다섯 가지의 행위들을 보면 기득권, 갑질, 반칙 이런 말들이 원칙에 대해 어느 때보다 높은 도덕적 기준 갖고 검증하고 있다.  자리에서 선거 캠페인과 국정운영이라는 현실 문제가 기계적으로 같을 수 없다는 점을 고백하고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래서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부터 수 차례 이런 행위를 한 사람들은 높은 수준의 도덕성을 갖고 조직을 이끌어야 하는 고위 공직자로 기용할 수 없다고 했다. 공교롭게도 문 대통령이 당선 후 처음 지명한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위장 전입을 시인했고, 급기야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해명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야당은 대통령이 직접 해명하라며 당초 오늘(26일)로 예정됐던 인사청문 심사보고서 채택을 거부했다.

ybj69980@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