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 유병수기자] 국민의당이 29일 난항을 겪던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오는 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문재인 대통령의 책임 있는 사과를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던 국민의당의 태도를 바꾼 데는 ‘호남 민심’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사실상 캐스팅 보트를 쥐었던 국민의당이 인준에 협조하겠다고 밝힌 건데, 지지기반인 호남 민심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의총 직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이 후보자가 위장전입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지만, 그럼에도 총리 인준안 처리에 협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이 스스로 천명한 인사원칙을 포기한 데 대해서는 책임 있는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지만, 전제조건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인사 원칙을 언급한 데 대해선 “원칙을 포기한 것에 대한 유감 표명으로는 이해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2005년 7월 이후 위장전입 관련자의 인사 배제 방침에 대해서도 “전향적으로 생각하지만, 그 이전에 부동산 투기 목적이 아닌 위장전입이 괜찮다는 기준에 동의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120석의 더불어민주당과 40석의 국민의당이 찬성 표를 던지면 재적의원의 과반을 넘는다. 더불어민주당과의 통합설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야당으로서 분명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의견과 사안 자체가 낙마를 거론할 정도로 심각하지 않은 만큼 ‘발목잡기’는 안 된다는 반론이 맞부딪쳤다.
실제 여야 대치 과정에서도 당내 호남 의원 대부분은 일단 인준을 한 뒤 재발방지책을 마련하자는 입장이었다. 특히 이 후보자가 인준을 받아 취임하게 되면, 헌정 사상 두 번째 전남 출신 총리가 되는 등 지역민들의 기대가 크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ybj6998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