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유병수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독일을 공식 방문 중인 가운데 6일(현지시각) 베를린시 한 호텔서 열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 회담에서 “한-중 관계를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나가자”고 제안했다.
또한 "마침 올해가 한중 수교 25주년이 되는 해다. 이런 계기를 맞아 한중 관계를 실질적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길 바라마지 않는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세월호 인양과 관련해 "중국 국영 기업 상하이 셀비지가 세월호 선박을 무사 인양했다. 상하이 셀비지의 노고에 대해 국민 사이에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불만도 있었다"면서 "저는 그 작업이 정말 어려웠고, 상하이 셀비지가 초인적 노력으로 가장 빠르게 무사 인양한 걸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국내 배치 문제로 촉발된 중국 지도부의 반발을 달래고 양국 간 우호 관계를 회복하는 데 주력했다.
다소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던 시 주석과 중국 대표단은 문 대통령이 “중국 국영기업 상하이 샐비지가 세월호 선박을 무사히 인양했다. 시 주석이 상하이 샐비지에 직접 독려를 해준 것으로 안다. 한국 국민도 이 사실을 제대로 알기를 바란다”고 말하자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을 표했다.
이에 시 주석은 "이 기회를 통해 우리는 솔직하게 소통하고, 이 것을 통해 이해를 증진시키고 중·한 관계 개선 발전과 지역평화 발전을 수호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중국 국민에게 낯설지 않다. 장강의 뒷물결이 앞 물결을 밀어낸다는 명언을 자서전에서 인용하며 정치적 소신을 밝혀 제게는 깊은 인상을 남겼다"며 말했다. 시 주석은 “이 기회를 빌려 중요한 관심사에 대해 (문 대통령과) 의견을 교환하려고 한다”며 “솔직한 소통으로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고 양국 관계의 개선·발전과 지역의 평화·발전을 수호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이어 시 주석은 문 대통령 당선 직후 통화한 사실과 취임 뒤 일대일로 포럼에 문 대통령이 특사단을 파견한 사실 등을 거론하며 "양국 관계 개선 발전에 대한 저의 긍정적 의지를 높이 평가해주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두정상의 회담은 당초 40분으로 예정했었으나 정상 간 대화가 길어지면서 1시간10분만에 종료됐다.
이날 정상회담에 우리 측에선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상철 안보실2차장, 김현철 경제보좌관 등 경제·외교라인 핵심 인사들이 배석했고, 중국 측에선 리잔수 중앙서기처 서기, 왕후닝 당 중앙정책연구실 주임,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 왕이 외교부장 등이 참석했다.
ybj6998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