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영산강 보 퇴적물 증가·유기물 감소..생태계 건강도↑
흰수마자·황새·흑두루미 등 멸종위기종 도래
[정현숙 기자]= 환경부는 13일 금강, 영산강, 낙동강 등에서 개방한 11개 보에 대해 2017년 6월부터 2020년 하반기까지 3년반 동안 모니터링한 결과를 공개했다.
4대강 16개 보 중에서 낙동강과 금강, 영산강 등의 11개 보를 개방해 관측한 결과 보를 열수록 녹조(유해남조류), 저층빈산소, 퇴적물 및 생태계 건강성 등의 물환경 지표가 개선되고 흰수마자·황새·흑두루미 등 멸종위기종이 도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2017년과 유사한 기상 조건이었던 2019년에 금강, 영산강에서 녹조는 예년 평균과 비교할 때 95% 이상 감소했다. 환경부는 이를 보 개방으로 체류시간이 최대 88% 짧아지고 물살이 최대 813% 빨라지는 등 물흐름이 개선된 영향으로 판단했다.
또한 보 개방 후 저층빈산소가 발생하지 않거나 빈도가 감소했다. 저층빈산소는 용존산소 2㎎/L 이하의 상태로, 하천 저층에 용존산소가 부족하면 저서성 수생생물과 수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승촌보의 경우, 완전개방 시기에는 저층 빈산소가 관측되지 않았고 낙동강 하류 달성·합천창녕보에서도 부분개방 이후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로 관측됐다.
또 퇴적물을 살펴 보면 개방 폭이 큰 금강, 영산강 보에서는 퇴적물 내의 모래 비율이 증가하고 유기물질 함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이 높아지고 유기물질이 감소하면 자정작용이 활발해지고 수중 용존산소량이 증가해 수질과 수생태계 개선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의 경우 영산강 죽산보에서 개방 전 대비 개방 후 1.7배(51.8%→ 88.2%)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개방 폭이 작았던 낙동강 보에서는 모래 비율 및 유기물 함량 증·감 경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생태계 및 육상생태계 분야에서는 보 개방 후 야생생물이 살아가는 서식 환경이 다양하게 조성됨에 따라 생태계 건강성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보 개방으로 물흐름이 빨라지고 깨끗한 모래톱, 자갈밭 등이 조성됨에 따라 야생생물의 서식 환경이 개선됐고, 생태계 건강성도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물살이 빠르고 깨끗한 모래가 깔린 수역에서만 서식하는 흰수마자가 2019년에 세종보 하류에서 재발견된 후, 2020년에는 공주보 상·하류에서도 관측되어 서식 범위가 확대됐다.
영산강·낙동강의 보 대부분은 개방 단계별 잦은 수위변화, 하굿둑 영향, 적은 개방 폭 등으로 수생태계 변화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 개방 후 모래톱과 수변공간은 각각 축구장 면적의 627배, 2011배(13개 보 최대 개방 기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과 수변공간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물새류가 장기간 보를 개방한 금강·영산강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황새(멸종 Ⅰ급, 죽산보 상류), 흑두루미(멸종 Ⅱ급, 창녕함안보 상류) 등 보전 가치가 높은 멸종위기 조류도 관측됐다.
광범위하게 조성된 모래톱, 하중도, 습지, 식생대 등 공간은 멸종위기 야생생물들을 포함한 다양한 육상생물의 서식·번식·휴식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미자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보를 개방해 3년 이상 관측한 결과, 보 개방으로 물흐름이 개선되면서 여러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면서 "올해에는 한강·낙동강 보에 대해서 보 운영 여건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4대강 개방 보에 대해 2017년 6월부터 수질, 수생태계, 퇴적물 등 14개 분야를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등 8개 전문기관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번 2020년 하반기 기준 4대강 보 개방 관측·분석 결과의 자세한 내용은 '보 개방·관측 종합분석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고서는 14일부터 '보 관측 종합정보 시스템'에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