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이 민간에 직접 이전되면서 민간소비 기여도 높여"
통계청 "고용률 상승.실업률 하락..5월 취업자 61만9천 명 증가"
[정현숙 기자]= 올해 1·4분기 국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7%를 기록하면서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경제 규모를 회복했다. 기존 전망치보다 상향되면서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 4.0%를 웃돌 청신호가 켜졌다.
현재 조선업을 비롯한 기계, 자동차 등 수출 경기가 워낙 좋은 상황이다. 여기에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면서 소비가 살아나고, 재난지원금까지 추가로 지급될 경우 성장률을 더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 1분기 성장률은 전기대비 1.7%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4.0%로 상향했다. 시장에서는 4%대 중반대까지 전망치를 높이고 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내수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성장을 견인했고 교역 조건 개선도 지속됐다"라며 "지난해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이 상당부분 민간에 직접 이전되면서 민간소비 기여도를 높였고 올해 GDP디플레이터도 상승을 이어갔다. 지난해 정부의 고용대책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역대최대를 기록하고, 가계저축률도 크게 상승해 경기 개선 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라고 설명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1%), 4분기(1.2%)에 이어 올해 1분기(1.7%)까지 세 분기 연속 반등했다. 이에 따라 국내 경제 규모는 지난 1분기에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명목 국민총소득(GNI)과 실질 국민총소득(GNI)도 직전분기보다 각 2.3%, 2.4% 늘었다.
총저축률은 35.9%로 전년(34.7%)보다 1.3%포인트 상승했고, 국내총투자율은 전년(31.3%)보다 0.3%포인트 오른 31.7%를 기록했다. 가계 순저축률은 11.9%로 전년(6.9%)보다 5.0%포인트 상승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페이스북을 통해 “우리 성장률이 올해 1분기와 2019년 2020년 모두 상향조정되면서 트리플 레벨업(Level-Up)을 달성했다”라며 “지난해 이후 성장률 상향조정은 코로나 위기극복 과정에서 우리 경제가 생각보다 강한 반등을 이루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최근 우리경제는 국내외 주요기관들의 올해 경제전망치 상향조정, 폭발적 수출증가율 등 코로나 방역상황 속에서도 뚜렷한 개선세의 경기회복흐름을 이어지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61만 9,000명 늘어 3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전월대비로는 4개월 연속 늘었다. 실업자는 1,14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30천명(-10.2%) 감소하였으며, 청년층 실업률은 9.3%로 전년동월대비 0.9%p 하락,계절조정 실업률은 3.8%로 전월대비 0.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 부총리는 “지난 달에 이어 60만명 이상의 높은 전년비 취업자수 증가세가 지속되어 향후 고용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다”라며 “올해 1월 저점 이후 민간부문 일자리를 중심으로 4달 연속 전월비 취업자수가 증가하며 도합 82만8,000명, 월 평균 2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늘었다. 코로나19 직전인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80% 이상의 일자리가 회복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모든 연령층의 고용률이 2개월 연속 상승한 점도 긍정적으로 봤다. 홍 부총리는 “청년층은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취업자 증가폭이 3개월 연속 10만명을 상회했다”라며 “30~40대는 취업자가 감소했지만 인구 감소에 따른 것으로 고용률은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표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진득하게 개선 흐름을 가속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도소매업(-13만6,000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6만7,000명) 등은 고용상황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홍 부총리는 “이들 분야에 대한 고용개선, 청년·여성 등 고용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대책 등은 당장 천착하고 해결해야 할 중요한 정책 과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