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이천호기자] 이명박 정부 청와대 인사들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을 파헤치는 검찰의 수사에 속도가 붙으면서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도 사실상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러 갈래로 수사가 이뤄지다 보니 복잡한 느낌도 있어서 현재 검찰 수사가 큰 틀에서 어떻게 봐야하나, 이 전 대통령 관련 검찰 수사는 제일 처음 국정원과 군의 댓글 공작·정치 관여 의혹에서 다스, 국정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 순으로 시작됐다.
시간순으로는 이렇지만 현재 뭐가 더 이 전 대통령에게 더 가까이 갔느냐를 놓고 보면 순서가 바뀐다. 여기에 국정원 특수활동비의 사용처를 쫓는 과정에서 불거져 나왔지만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의혹은 이 자체로 또 하나의 핵심 수사 대상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서울 서초구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자금 가운데 1억원이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에서 유용된 정황을 검찰이 포착했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명박정부 당시 국정원의 청와대 상납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최근 이 같은 단서를 확보하고 수사 중이다. 검찰은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과거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사건에 연루된 관계자들을 차례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그러나 당시 내곡동 사저 부지 비용 54억원 가운데 11억2000만원을 부담한 것으로 확인된 이 대통령의 장남 시형씨(33)에 대한 소환 계획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즉, 검찰이 결정적 증거를 찾아내 이른 시일 안에 직접 조사 채비에 나설 경우, '데드라인'을 결정할 최대 변수는 평창올림픽이 될 전망이다. 현재 이 전 대통령을 겨눈 검찰의 창은 모두 5개나 되는 셈이다. 먼저 김희중·원세훈 등 최측근들이 입을 열기 시작한 만큼 특수활동비 부분이 속도도 가장 빠르고, 이 전 대통령의 직접 소환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도 이 부분에서 나온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안팎에서는 지금까지 검찰이 보여준 '쾌속 행마'를 고려하면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조만간에 이뤄질 수 있다는 예상이 많다.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를 고려하면 직접 조사의 횟수는 최소화하는 것이 낫다는 점에서, 여러 건의 의혹 수사가 모두 무르익은 뒤에 조사 시기를 정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민간인 사찰 사건 입막음용으로 전달된 이 관봉 상태의 5천만 원. 검찰은 현재 이 돈이 누구의 지시로 전달됐고, 어디까지 보고됐는지 다시 파헤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김주성 전 기조실장 등이 이 전 대통령에게 국정원 자금 상납 사실을 보고했다는 진술을 받았고, 김희중 전 제1부속실장의 협조로 김윤옥 여사를 담당하는 청와대 행정관에게 자금이 전달된 정황 등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건은 검찰이 앞으로 진행할 수사에서 이 전 대통령의 사건 관여 정황을 뒷받침할 증거를 얼마나 빠르게, 충분히 확보하느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씨가 내곡동 사저 부지를 사는데 쓴 현금 6억 원의 출처 역시 결과에 따라 치명적일 수 있다. 다스 관련해서는 김성우 전 사장 등의 진술을 넘어 실소유주 의혹을 풀고, 140억 원을 어떻게 회수했는지를 밝혀낼 수 있을지, 잠시 주춤해 보이는 국정원과 군 관련 수사도 어디까지 뻗어 나갈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검찰은 다스 실소유주 의혹과 관련해 최근 김성우 전 다스 사장 등으로부터 '자수서'를 받고 이 전 대통령이 회사 설립에 관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스의 사정을 속속들이 아는 김 전 사장이 검찰에 협조적인 태도로 선회함에 따라 관련 수사도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다.